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빅데이터 기반 국토균형발전 분석모형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 Development for Big Data based Analytical Model and It's Application

김동한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동한
김다윗
변필성
안종욱
서명/저자사항빅데이터 기반 국토균형발전 분석모형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Development for Big Data based Analytical Model and It's Application /김동한,김다윗,변필성,안종욱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0
형태사항134.p :삽화 ;26cm
보고서번호기본 19-11
서지주기참고문헌(p.127-132),Summary(p.133-134)수록
비통제주제어빅데이터,균형발전,국토균형발전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846 K 02.10-08 김24빅 2020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 개인의 소득·소비, 기업의 생성·소멸 등 국토공간상에서 생활을 영위하고 활동을 전개하는 주체에 관한 미시적·동태적인 빅데이터를 국토균형발전정책에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빅데이터의 수집·정제·융합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개인소득과 기업활동에 관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기반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전 국토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수행
 - 100미터 그리...

초록 전체

* 개인의 소득·소비, 기업의 생성·소멸 등 국토공간상에서 생활을 영위하고 활동을 전개하는 주체에 관한 미시적·동태적인 빅데이터를 국토균형발전정책에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빅데이터의 수집·정제·융합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개인소득과 기업활동에 관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기반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전 국토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수행
 - 100미터 그리드셀을 최소단위로 하여 개인소득 등 빅데이터 분석
 - 국토균형발전의 공간적 다층위성과 상대성을 실증적으로 도출 → 다층적 균형정책의 필요성과 이를 지원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체계 구축과 활용 가능성 제시
* 분석결과를 다양한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국토균형발전 온라인 대쉬보드를 시험개발하고 국가균형발전종합플랫폼(NABIS)과 연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

목차 일부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연구 틀 및 주요 개념 
 4.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 연구의 학술정책적 기대효과

제2장 균형발전 동향 및 시사점
 1. 균형발전 정책발전 동향 
 2. 균형발전 지표개발 동향 
 3. 균형발전 모니터링 동향 
 4. 시사점의 종합 

제3장 빅데이터 기반 국...

목차 전체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연구 틀 및 주요 개념 
 4.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 연구의 학술정책적 기대효과

제2장 균형발전 동향 및 시사점
 1. 균형발전 정책발전 동향 
 2. 균형발전 지표개발 동향 
 3. 균형발전 모니터링 동향 
 4. 시사점의 종합 

제3장 빅데이터 기반 국토균형발전 분석모형 개념정립
 1. 빅데이터 기반 국토균형발전 분석체계 정의 
 2. 분야별 빅데이터 수집, 정제, 융합 방법론 
 3. 다계층적 공간단위의 정의 

제4장 분석모형 시험개발 및 실증분석: 개인데이터와 기업데이터를 중심으로
 1. 분석모형 설계 
 2. 분석모형 개발 
 3. 실증분석: 기업데이터와 개인소득데이터를 중심으로 
 4. 성과와 시사점 

제5장 분석모형 활용방안: 대쉬보드 개발과 플랫폼 연계를 중심으로
 1. 대쉬보드 개념 
 2. 대쉬보드 구축사례 
 3. 국토균형발전 대쉬보드 시험개발 
 4.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활용방안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연구의 종합 및 정책제언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