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1.연구 내용 및 범위
2.연구방법
제2장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정책의 상호연관성
제1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배경 및 국내외 동향
1.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배경 및 동향
2.국내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동향
제2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특징
1.지속가능발전목표의 구조
...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1.연구 내용 및 범위
2.연구방법
제2장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정책의 상호연관성
제1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배경 및 국내외 동향
1.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배경 및 동향
2.국내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동향
제2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특징
1.지속가능발전목표의 구조
2.지속가능발전목표의 특징
제3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상호연관성
1.지속가능발전목표와 상호연관성
2.선행연구
3.분석틀
제3장 정책통합 수단으로서 지속가능발전목표 활용 사례(오수길)
제1절 정책통합 수단으로서 지속가능발전목표
1.지속가능발전과 행정체제의 변화
2.목표체계 전환의 의의
제2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특징
1.브리스톨(Bristol)시
2.뉴욕(New York)시
3.로스앤젤레스(Los Angeles)시
4.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연안국: 예산과의 연계
제3절 국내 사례
1.서울시
2.서울시 종로구
3.수원시
4.충청남도
5.충남 당진시
제4절 시사점
제4장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와 민선7기 정책의 상호연관성
제1절 민선7기 정책 공약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주요 내용
1.민선7기 정책 공약의 주요 내용
2.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G-SDGs)의 주요 내용
제2절 민선7기 정책 공약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상호연관성 분석
1.분석방법
2.상호연관성 분석 결과
제5장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와 민선7기 정책의 상호연관성
제1절 민선7기 정책과제와 G-SDGs의 상호작용 인과지도(문태훈)
1.지속가능발전목표와 정책의 인과관계
2.인과지도로 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5P의 동태적 상호관계
3.민선7기 정책과 G-SDGs의 인과구조
4.정책적 시사점
제2절 경기도의 기본소득 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유영성)
1.기본소득과 지속가능발전
2.경기도 기본소득 정책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연관성
3.경기도 기본소득 공약과 여타 공약과의 연관성
4.정책적 시사점
제3절 경기도의 미세먼지 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김동영)
1.미세먼지와 지속가능발전목표
2.경기도 미세먼지 정책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와의 연관성
3.경기도 미세먼지 공약과 여타 공약과의 연관성
4.정책적 시사점
제4절 경기도의 상대적 빈곤 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김희연)
1.상대적 빈곤과 지속가능발전목표
2.경기도 상대적 빈곤 정책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연관성
3.경기도 상대적 빈곤 공약과 여타 공약과의 연관성
4.정책적 시사점
제5절 경기도 농업 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이수행)
1.농업과 지속가능발전목표
2.경기도 농업정책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와의 연관성
3.경기도 농업 공약과 여타 공약과의 연계성
4.정책적 시사점
제6장 민선7기 정책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 연계 방안
제1절 민선7기 정책과 G-SDGs 연계 모델에 대한 평가
1.내용적 측면
2.방법론적 측면
제2절 민선7기 정책과 G-SDGs 연계 방안
1.도정과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정합성 제고
2.정책통합을 위한 거버넌스 강화
제3절 지속가능발전 주류화를 위한 SDGs 활용 방안
1.SDGs 주류화를 위한 정책일관성 체크리스트
2.SDGs와 정책의 상호작용 분석
3.지속가능발전목표와 지역의 주요 계획 및 정책의 연계
4.글로벌 목표와의 연계 및 선도적 리더십 확보
제7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제1절 결론
제2절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