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발간사: 녹색 국가를 향한 길, 한국 사회의 녹색전환 - 조명래
서문: 한국 사회의 녹색전환을 위하여 - 최병두·김도균
1부 녹색전환의 개념과 이론
1장 인류세를 위한 녹색전환_ 최병두
1.'도래하는' 인류세
2.지구적 생태 위기와 녹색전환
3.녹색전환을 위한 사회-자연 관계의 재인식
4.녹색전환을 위한 사회경제체제의 재구성
5.녹색...
목차 전체
발간사: 녹색 국가를 향한 길, 한국 사회의 녹색전환 - 조명래
서문: 한국 사회의 녹색전환을 위하여 - 최병두·김도균
1부 녹색전환의 개념과 이론
1장 인류세를 위한 녹색전환_ 최병두
1.'도래하는' 인류세
2.지구적 생태 위기와 녹색전환
3.녹색전환을 위한 사회-자연 관계의 재인식
4.녹색전환을 위한 사회경제체제의 재구성
5.녹색전환, 새로운 지질시대를 위한 도전
2장 녹색전환 이론과 체계의 전환 - 구도완
1.왜 녹색전환인가?
2.전환의 개념과 담론
3.전환의 이론
4.녹색전환의 가치와 방향
5.녹색전환의 전략
3장 환경 국가의 발전 과정과 녹색전환 - 김수진
1.녹색전환과 환경 국가
2.환경 국가의 위상과 환경 성과
3.사회정치제도와 환경 성과
4.녹색전환을 위한 3세대 환경 국가의 비전
4장 한국 사회 녹색전환 전략의 필요성 - 이상헌
1.신자유주의적 개발 국가에서 지속 가능한 사회로
2.이론적 자원과 분석틀
3.신자유주의적 개발 국가 한국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평가
4.한국 사회의 지속 가능성 제고를 위한 녹색전환 전략
5.생태 민주주즈이적 그린 뉴딜의 추진
2부 녹색전환을 위한 전략
5장 정치의 녹색전환을 위한 전략 - 하승수
1.기후 위기와 정치
2.기후 위기와 선거제도
3.다양한 선거제도
4.선거제도 개혁의 경로와 기대효과
5.선거제도 개혁을 통한 녹색 헌법
6.전환의 정치를 위하여
6장 경제의 녹색화 - 김해창
1.왜 경제의 녹색화인가?
2.녹색전환 관점에서 본 한국 경제
3.경제의 녹색화를 위한 개념 논의
4.경제의 녹색화를 위한 전략과 과제
7장 정책 형성 문화의 녹색전환 - 조공장
1.문화의 관점에서 본 정책 형성 과정
2.정책 형성 문화의 진단
3.정책형성 문화의 전환 방향
4.정책 형성 문화 전환을 위한 정책 방안
5.정책형성 문화와 프로세스의 전호나
8장 과학기술의 녹색전환 - 박진희
1.기후 위기와 과학기술 혁신 정책
2.지속가능한 기술 혁신에서 전환적 기술혁신으로
3.녹색 화학, 지속 가능 과학 논의의 전개와 발전
4.성찰적 과학기술 거버넌스
5.녹색전환 연구사례
6.과학기술의 녹색전환을 위하여
9장 공간 환경의 녹색전환 - 김선희
1.국토 발전이란 무엇인가?
2.국토 공간의 다양한 특성과 녹색전환의 필요성
3.국토 공간의 녹색전환 방향과 이슈
4.공간 환경의 녹색화 전략
10장 한반도 녹색전환과 남북한 환경 협력 방안 - 추장민
1.북한의 환경 위기
2.북한 환경 상태 진단 및 전망
3.북한 사회 녹색 전환의 주요 과제
4.한반도 녹색전환을 위한 남북한 환경 협력 방안
5.남북한이 함께하는 녹색전환
3부 녹색전환을 위한 이행 방안
11장 녹색전환 이행을 위한 법제 개선 - 한상운
1.녹색전환과 법제도
2.녹색전환은 헌법 가치에 위배되는가?
3.녹색전환과 헌법 개정
4.녹색전환을 위한 관련 법제 개선
5.미래 세대를 위하여
12장 녹색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 윤순진
1.녹색 거버넌스의 주류화
2.녹색 국가와 녹색 거버넌스의 이해
3.한국 녹색 거버넌스의 현재
4.녹색 버너넌스 개선을 위한 도전과 과제
13장 토의 민주주의를 활용한 녹색 사회로의 전환 - 김도균
1.투표 중심 민주주의에서 대화 중심 민주주의로
2.토의 민주주의와 공론 조사
3.지역 공론 조사 사례: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서산시
4.가능성과 한계
14장 지역사회 조직화를 통한 녹색 사회 이행 - 구자인
1.'지속 가능한 지역사회',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
2.지역사회 녹색전환의 접근 관점
3.지역사회의 녹색전환 전략: 목표와 핵심 과제, 기본 전략
4.지역사회 조직화의 경로와 이행 전략
5.녹색전환의 선도 자치단체 사례 만들기
4부 녹색전환을 위한 환경현안 대응
15장 기후변화와 저탄소 녹색전환 - 진상현
1.녹색전환과 기후변화
2.저탄소 녹색전환의 과거:탄소 고착과 녹색 성장
3.저탄소 녹색전환의 한계:개도국, 신흥국 혹은 부유국
4.저탄소 녹색전환의 미래:갈림길에 선 한국의 선택
5.저탄소 녹색전환을 위한 제언
16장 녹색 사회를 위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 - 심창섭
1.장거리 대기오염
2.우리나라의 미세먼지의 실태와 특징
3.정부 정책의 대응 현황
4.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해결 과제와 정책 방향
5.미세먼지 저감의 가시적 성과를 위하여
17장 자원순환을 위한 그린 액션과 그린 인프라 - 이소라
1.폐기물의 역습
2.자원순환 분야의 현황과 대응
3.그린 액션의 발전 방향
4.그린 인프라의 발전 방향
5.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하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