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발전구상과 실천방안 연구 II =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Strategies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in the Border Areas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II

강민조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강민조
임용호
오호영
강호제
양진홍
홍순직
박훈민
류지성
서명/저자사항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발전구상과 실천방안 연구 II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Strategies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in the Border Areas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II /강민조,임용호,오호영,강호제,양진홍,홍순직,박훈민,류지성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19
형태사항xxi, 207.p :삽화 ;26cm
ISBN9791158984946
보고서번호기본 19-27
일반주기 ※외부연구진: 홍순직,박훈민,류지성
서지주기참고문헌(p.171-179),Summary(p.180-183),부록(p.184-207)수록
비통제주제어접경지역,균형개발,종합발전구상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772 K 02.10-07 강39경 2019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 1차 년도(2018년) 연구결과인 경기북부 접경지역 종합발전 구상을 반영하여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한반도 신경제 구상 구현과 균형발전 가능 사업을 실천사업 선정의 기본전제로 설정
- 남북협력을 위한 선행추진 과제(3), 경기북부 접경지역 대상 중앙부처 실천사업(6), 지역특성을 기반으로 한 경기북부 지자체 실천사업(11) 및 연구진 발굴 실천사업(...

초록 전체

- 1차 년도(2018년) 연구결과인 경기북부 접경지역 종합발전 구상을 반영하여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한반도 신경제 구상 구현과 균형발전 가능 사업을 실천사업 선정의 기본전제로 설정
- 남북협력을 위한 선행추진 과제(3), 경기북부 접경지역 대상 중앙부처 실천사업(6), 지역특성을 기반으로 한 경기북부 지자체 실천사업(11) 및 연구진 발굴 실천사업(2) 등, 총 22개의 실천사업 선정
- 실천사업은 DMZ 및 남북 접경지역 모두를 고려한 종합적 계획 하에 추진하되, 남북관계 발전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사업의 실행력 확보
- 실천사업은 남한부터 선(先)개발하는 초기단계, 남북공동사업을 추진하는 확대단계, 타지역과 광역형으로 연계개발을 하는 심화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추진
- 실천사업 추진을 위해 접경지역 관련 규제 완화, 지원제도의 개정 또는 신설, ‘남북접경위원회(가칭)’ 설치 등의 거버넌스 구축 및 사업추진 단계·주체 등에 따른 재원조달 방안 제시

목차 일부

주요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3.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경기북부 접경지역 종합발전 구상과 실천사업 선정방향
 1.종합발전 구상의 추진방향
 2.종합발전 실천사업 선정방향
 3.종합발전 실천사업 선정방향 요약

제3장 경기북부 접경지역 종합발전 실천사업
 1.종합발전 실천사...

목차 전체

주요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3.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경기북부 접경지역 종합발전 구상과 실천사업 선정방향
 1.종합발전 구상의 추진방향
 2.종합발전 실천사업 선정방향
 3.종합발전 실천사업 선정방향 요약

제3장 경기북부 접경지역 종합발전 실천사업
 1.종합발전 실천사업 선정지표
 2.종합발전 실천사업 평가
 3.종합발전 실천사업 선정경과 및 주요내용
 
제4장 종합발전 실천사업 분야의 단계별 추진방안
 1.지자체 실천사업의 분야별·단계별 추진방안
 2.중앙부처 및 기타 실천사업의 단계별 추진방안
 
제5장 실천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
 1.법·제도적 개선방안
 2.거버넌스 체계 구축방안
 3.소요재원 조달방안
 4.제도적 지원방안 종합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2차 년도 연구의 결론 및 정책제언
 2.2차 년도 연구의 성과 및 기대효과
 3.3차 년도 연구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