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이용자 중심의 도시계획시설 공급 및 관리방안 연구 = Strategy for User-Oriented Management and Supply for Urban Planning Facilities

김중은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중은
김은란
김동근
윤정재
이경주
임주호
조돈철
조미향
서명/저자사항이용자 중심의 도시계획시설 공급 및 관리방안 연구 =Strategy for User-Oriented Management and Supply for Urban Planning Facilities /김중은,김은란,김동근,윤정재,이경주,임주호,조돈철,조미향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19
형태사항xiv, 113.p :삽화,표 ;26cm
ISBN9791158984939
보고서번호기본 19-19
일반주기 ※외부연구진: 이경주,임주호,조돈철,조미향
서지주기참고문헌(p.95-97),Summary(p.99-100),부록(p.101-113)수록
비통제주제어도시계획시설,도시계획,도시관리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764 K 04.10-11 김77이 2019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 「국토계획법」상의 ‘기반시설’의 개념을 ‘각종 생산 및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국민들의 생활편익 증진을 위해 필요한 시설’로 정의하고, 크게 ‘(1) 도시기반시설’과 ‘(2) 생활편익시설’로 구분
 * ‘도시계획시설’은 ‘기반시설 중 도시공간구조나 도시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여 공급·관리하거나 설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시...

초록 전체

- 「국토계획법」상의 ‘기반시설’의 개념을 ‘각종 생산 및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국민들의 생활편익 증진을 위해 필요한 시설’로 정의하고, 크게 ‘(1) 도시기반시설’과 ‘(2) 생활편익시설’로 구분
 * ‘도시계획시설’은 ‘기반시설 중 도시공간구조나 도시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여 공급·관리하거나 설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시설’로 정의
- 성숙·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도시계획시설의 공급·관리 목표도 도시의 기능 및 활력을 유지하고 국민생활의 편익을 증진하는 것으로 변화함에 따라 향후 도시계획시설의 공급·관리 방식도
① 기존시설의 유지·관리 및 고도이용, ② 민간의 자본과 전문성을 활용한 공급·관리, ③ 이용자 중심의 유연한 공급·관리지표 설정이라는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 필요
- 기존의 총량적 원단위 방식을 통한 도시계획시설 공급의 적정성 진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접근성에 기반한 이용자 중심의 평가지표 도입이 필요

이하 원문확인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 범위 및 방법
 3.연구 틀 및 주요개념
 4.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연구의 정책·학술적 기대효과

제2장 여건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시설 개념의 재정립
 1.현행 도시계획시설의 개념 및 분류기준
 2.도시계획시설을 둘러싼 여건변화 분석
 3.도시계획시설의 정의 규...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 범위 및 방법
 3.연구 틀 및 주요개념
 4.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연구의 정책·학술적 기대효과

제2장 여건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시설 개념의 재정립
 1.현행 도시계획시설의 개념 및 분류기준
 2.도시계획시설을 둘러싼 여건변화 분석
 3.도시계획시설의 정의 규정 및 분류기준 재정립
 
제3장 도시계획시설의 공급 및 관리 방식 개선방안
 1.기본방향
 2.기존시설의 유지·관리 및 고도이용
 3.민간의 자본과 전문성을 활용한 공급·관리
 4.이용자 중심의 공급·관리기준 설정

제4장 접근성 기반의 도시계획시설 공급적정성 평가방안
 1.접근성 기반의 공급기준 도입의 필요성
 2.접근성 기반의 시설 공급적정성 평가지표 정의 
 3.도시계획시설의 공급적정성 평가 실증분석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1.연구의 결론
 2.향후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