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자율주행기반 대중교통체계 구축방안 연구 : BRT 및 셔틀 도입을 중심으로 = Strategies to Implement Autonomous Public Transit: Focusing on Autonomous Bus Rapid Transit and Shuttle Services

윤태관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윤태관
임영태
박종일
이혁기
연규봉
정기윤
서명/저자사항자율주행기반 대중교통체계 구축방안 연구 :BRT 및 셔틀 도입을 중심으로 =Strategies to Implement Autonomous Public Transit: Focusing on Autonomous Bus Rapid Transit and Shuttle Services /윤태관,임영태,박종일,이혁기,연규봉,정기윤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19
형태사항xviii, 160.p :삽화 ;26cm
ISBN9791158984922
보고서번호기본 19-17
일반주기 ※외부연구진: 이혁기, 연규봉, 정기윤
서지주기참고문헌(p.151-157),Summary(p.158-160)수록
비통제주제어자율주행,대중교통,BRT,셔틀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762 K 06.10-09 윤882자 2019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1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을 통해 기존 대중교통이 가진 안전 취약문제, 낮은 접근성, 차내 혼잡 등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 기술개발 완료 시기에 따른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시기 예측
- 자율주행 대중교통은 자율주행 순환/셔틀, 자율주행 간선/BRT, 자율주행 DRT, 자율주행 지선 버스로 정의할 수 있음
- 자율주행 대중교통 도입...

초록 전체

1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을 통해 기존 대중교통이 가진 안전 취약문제, 낮은 접근성, 차내 혼잡 등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 기술개발 완료 시기에 따른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시기 예측
- 자율주행 대중교통은 자율주행 순환/셔틀, 자율주행 간선/BRT, 자율주행 DRT, 자율주행 지선 버스로 정의할 수 있음
- 자율주행 대중교통 도입을 위해 자율주행 환경 인식, 안전, 통신, 시스템 및 기타 기술 개발동향을 분석한 결과, 2022년 경 자율주행 BRT를 시작으로 셔틀, DRT 서비스 순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측됨
- 기술개발에 중점을 둔 예측이므로 경제적 타당성, 운영방식의 결정, 사회적 수용성, 부작용에 대한 대책 마련 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됨
3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첨단인프라 측면에서 도로 및 교통 인프라 관리, 시설물 개선, 정보통신 인프라와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등이 요구되며, 관련 법 개정도 필요함

목차 일부

주요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3.연구 틀 및 주요개념
 4.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1.국내·외 자율주행차량 기술개발 동향 분석
 2.자율주행 대중교통 관련 선행연구 분석
 3.자율주행 대중교통 기술개발 및 실증운행...

목차 전체

주요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3.연구 틀 및 주요개념
 4.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1.국내·외 자율주행차량 기술개발 동향 분석
 2.자율주행 대중교통 관련 선행연구 분석
 3.자율주행 대중교통 기술개발 및 실증운행 사례 분석
 4.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정의 

제3장 자율주행 대중교통 도입효과 분석
 1.기존 대중교통 서비스 문제점 분석
 2.자율주행 대중교통 도입효과 분석
 3.이용자 측면의 기대사항 조사
 
제4장 서비스 도입시기 예측과 효율적 구축방안 제시
 1.자율주행 기술개발 동향 분석
 2.자율주행 비기술 동향 분석
 3.서비스 도입순서 및 시기 예측
 4.첨단인프라 구축방안
 5.법·제도 개선방안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1.결론 및 정책제언
 2.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