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를 위한 국토정책과제 연구 = Planning Policy Agenda for the Intergrated Management of Terriotrial Plan and Environment Plan

김동한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동한
안승만
이다예
이용우
임지영
서명/저자사항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를 위한 국토정책과제 연구 =Planning Policy Agenda for the Intergrated Management of Terriotrial Plan and Environment Plan /김동한,안승만,이다예,이용우,임지영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19
형태사항xxi, 149.p :삽화,표 ;26cm
ISBN9791158984700
보고서번호기본 19-06
서지주기참고문헌(p.143-147),Summary(p.148-149)
비통제주제어국토계획,환경보전,국토정책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753 K 02.10-08 김24국 2019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 국토정책의 관점에서 국토계획와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필요성, 목적, 주요 과제를 구체화하고 향후의 추진방향을 제시
-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연계 강화를 위한 시사점 제시
-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제도의 현황과 정합성을 분석하고 통합관리를 위한 연계 강화방안을 제시
-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내용의 연계 강화를 위해...

초록 전체

- 국토정책의 관점에서 국토계획와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필요성, 목적, 주요 과제를 구체화하고 향후의 추진방향을 제시
-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연계 강화를 위한 시사점 제시
-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제도의 현황과 정합성을 분석하고 통합관리를 위한 연계 강화방안을 제시
-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내용의 연계 강화를 위해 통합관리의 공통아젠더를 설정하고 대응전략을 제시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1.연구 배경 및 목적
 2.연구 범위 및 방법
 3.주요 개념 및 연구 틀
 
제2장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필요성 및 과제
 1.이론적·정책적 배경
 2.친환경적 국토관리의 성과와 한계
 3.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필요성
 4.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목적 및 과제
 
제...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1.연구 배경 및 목적
 2.연구 범위 및 방법
 3.주요 개념 및 연구 틀
 
제2장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필요성 및 과제
 1.이론적·정책적 배경
 2.친환경적 국토관리의 성과와 한계
 3.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필요성
 4.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목적 및 과제
 
제3장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의 사례분석
 1.국내 사례분석
 2.국외 사례분석
 3.시사점 도출

제4장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제도의 연계 강화방안
 1.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의 제도 현황
 2.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의 제도적 정합성 분석
 3.통합관리를 위한 제도 연계 강화방안

제5장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 내용의 연계 강화방안
 1.통합관리 항목의 세부과제 및 국토정책적 함의 분석
 2.통합관리의 공통아젠더 설정 및 대응 전략 수립
 3.데이터 기반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

제6장 정책제언 및 결론
 1.법제도 개선방안
 2.연구의 기대효과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