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경기도의 남북 환경협력 방안 연구 = A Study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Gyeonggi-Do

이기영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기영
김동영
이양주
이정임
송미영
이성룡
강철구
고재경
이은환
김한수
이성우
한송희
최민애
전소영
정복선
김욱
장누리
예민지
정혜윤
최충익
서명/저자사항경기도의 남북 환경협력 방안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Gyeonggi-Do /이기영,김동영,이양주,이정임,송미영,이성룡,강철구,고재경,이은환,김한수,이성우,한송희,최민애,전소영,정복선,김욱,장누리,예민지,정혜윤,최충익
발행사항경기 :경기연구원,2019
형태사항xiv, 305.p :삽화,표 ;24cm
총서사항정책연구 ;2019-33
총서부출표목경기연구원 정책연구 ;2019-33
ISBN9791189725587
서지주기참고문헌(p.287-297),Abstract(p.299),부록(p.301-305)수록
비통제주제어남북협력,한반도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B041155 11.10-23 이17경 2019 국토연구원/자료실/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연구의 범위 
  2.연구의 방법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남북여건과 협력의 기본방향
 제1절 남북관계 동향 및 전망
  1.들어가는 말
  2.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대한 검토
  3.결론: 게임이론의 적용과 비핵화 가능성 전망
 제2절 남북의 갭라과 환경정책
  ...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연구의 범위 
  2.연구의 방법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남북여건과 협력의 기본방향
 제1절 남북관계 동향 및 전망
  1.들어가는 말
  2.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대한 검토
  3.결론: 게임이론의 적용과 비핵화 가능성 전망
 제2절 남북의 갭라과 환경정책
  1.남북의 개발방식
  2.남북의 환경정책
 제3절 동서독 환경협력과 교훈
  1.구동독의 환경오염 실태와 환경정책
  2.통일전 동섣고간의 환경협력
  3.통일 과저에서의 동서독 환경분야의 통합
  4.독일 환경통합의 교훈
 제4절 남북 환경협력의 기본방향
  1.남북 환경협력 관련 수도권 주민 인식도 조사
  2.기본방향 

제3장 환경분야별 협력방안
 제1절 자연환경
  1.남북의 자연환경 현황
  2.자연환경분야의 남북 협력사업
  3.자연환경분야의 협력방안 및 사업
 제2절 하천
  1.공유하천 개념
  2.자연환경분야의 협력방향 및 사업
 제3절 상하수도
  1.남북의 상하수도 현황
  2.기본방향
  3.협력사업 및 추진전략
 제4절 자원순환
  1.남북의 폐기물 관리 현황
  2.기본방향
  3.협력사업 및 추진전략
 제5절 대기
  1.남북의 대기 현황
  2.기본방향
  3.협력사업 및 추진전략
 제6절 에너지
  1.서론
  2.경기도 접경지역 및 북측 에너지 수급 현황
  3.북측의 에너지문제와 지속가능성
  4.남북 에너지협력 기본 방향과 추진 과제
 제7절 보건
  1.북측의 보건의료 현황
  2.우리나라 및 국제사회의 대북 보건의료 지원 현황
  3.남북 보건의료 협력 추진방안
 
제4장 남북환경 협력 추진전략
 제1절 남북 환경협력의 전제조건
 제2절 DMZ 보전 방안
  1.남측에서의 개발압력
  2.기존 주요계획의 평가 
  3.DMZ 보전 방법론
  4.DMZ 보전 계획
  5.결론
 제3절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 적용
  1.DMZ와 접경지역의 개발 계획과 문제점
  2.지속가능한 발전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제4절 추진전략
  1.단계별 추진전략
  2.법·제도적 개선 방안
  3.후속연구의 수행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제안
  1.남북 환경협력 완성의 전제 조건
  2.DMZ 보전 방안
  3.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4.법·제도적 개선 방안
  5.환경 분야별 남북협력방안
  6.경기도의 역할
  7.후속연구의 수행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