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경기북부 접경지역 발전전략 = New Economic Initiativ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rn Gyeonggi Development Strategy

이정훈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정훈
강식
고재경
김동성
김채만
김태경
이기영
이성우
이양주
장윤배
최성환
옥진아
장누리
정성희
조진현
한아름
서명/저자사항한반도 신경제구상과 경기북부 접경지역 발전전략 =New Economic Initiativ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rn Gyeonggi Development Strategy /이정훈,강식,고재경,김동성,김채만,김태경,이기영,이성우,이양주,장윤배,최성환,옥진아,장누리,정성희,조진현,한아름
발행사항경기 :경기연구원,2019
형태사항xlviii, 348.p :삽화,지도 ;25cm
총서사항정책연구 ;2019-56
총서부출표목경기연구원 정책연구 ;2019-56
ISBN9791189725877
서지주기참고문헌(p.337-344),Abstract(p.345-348)수록
비통제주제어접경지역,한반도경제,지역발전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B041142 02.10-07 이73한 2019 국토연구원/자료실/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경기북부 및 북한측 접경지역 현황
 1.경기북부 접경지역 현황
 2.경기도와 접한 북한 접경지역 현황
 3.도민의 남북관계 변화 및 북한지역에 대한 인식과 정책 수요 
 
제3장 남북관계와 동북아 변화
 1.동북아시아 국제정세: 미·중 대결구도의 확대
 2.남북관계의 전개와 한반도...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경기북부 및 북한측 접경지역 현황
 1.경기북부 접경지역 현황
 2.경기도와 접한 북한 접경지역 현황
 3.도민의 남북관계 변화 및 북한지역에 대한 인식과 정책 수요 
 
제3장 남북관계와 동북아 변화
 1.동북아시아 국제정세: 미·중 대결구도의 확대
 2.남북관계의 전개와 한반도 비핵화 과정
 3.미중대결과 한반도 비핵화 전망

제4장 남북평화시대 경기북부 발전 기조의 정립
 1.한반도 신경제구상의 내용과 방향
 2.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 및 접경지역발전종합계획 검토 
 3.북한 개방시 남북한 접경지역의 변화 전망
 4.남북평화시대 경기북부 발전 기조와 전략의 성립

제5장 경의축-서해연안축을 한반도 메가리전의 중심화
 1.서해경제공동특구 조성 
 2.서해경제공동특구와 연계한 한강하구 평화적 활용
 3.경의선 철도 복원 및 고속철도망 구축
 4.개성공단의 확장과 업그레이드
 5.남북공동 스마트시티 추진

제6장 DMZ의 생태와 문화를 통한 남북통합 선도 
 1.DMZ 평화생태공원 조성
 2.DMZ 세계유산 등재 및 보전과 활용계획 수립
 3.DMZ를 통한 남북 관광협력 촉진
 
제7장 경원축을 대륙 연계 관광 및 물류거점으로 구축
 1.경원권 도로 및 철도 복원
 2.경원권 물류거점 구축
 3.경원축 트윈시티(경제특구) 및 남북협력 배후거점지구 형성

제8장 접경지역 배후지 남북협력 거점 구축: 미군 반환공여구역 갭라
 1.반환공여구역 개발 현황과 문제점 
 2.반환공여지 남북협력 거점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방안

제9장 접경지역 수자원 및 에너지 인프라 구축 협력
 1.DMZ와 접경지역 물 공급 및 관리 방식의 정립
 2.남북공동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 협력

제10장 접경지역 토지 소유의 법적 쟁점과 대책
 1.접경지역 토지소유 및 이용에 관한 제도 정비
 2.접경지역에 대한 법적 분쟁: 쟁점과 대책
 3.결론

제11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