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2. 연구목표 및 방법
1) 연구목표
2) 연구 수행방법 및 과정
3. 선행연구현황 및 차별성
1) 도시정책 분야 연구사례
2) 탄력성(Resilience) 분야 연구사례
3) 취약성(Vulnerability) 분야 연구사례
4) 선행연구...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2. 연구목표 및 방법
1) 연구목표
2) 연구 수행방법 및 과정
3. 선행연구현황 및 차별성
1) 도시정책 분야 연구사례
2) 탄력성(Resilience) 분야 연구사례
3) 취약성(Vulnerability) 분야 연구사례
4) 선행연구를 통한 시사점
5)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탄력성 관련 도시정책 동향
1. 탄력성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점과 정책적 함의
1) UN 주도하의 국제 정책
2) 탄력성 관련 해외 기후변화 적응 정책 현황
2. 국내 정책분야의 탄력성에 대한 관점
1) 온실가스 감축
2) 기후변화 적응 부문
3) 탄력성(레질리언스:Resilience) 부문
3. 건축·도시정책 분야에서 탄력성의 함의
1)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기본으로서 취약성과 탄력성의 관계
2) 향후 리스크 평가에 대한 탄력성의 의미
제3장 탄력적 도시설계를 위한 도시 취약성 진단도구 개발
1. 탄력성 연계 취약성 진단 모형의 개념정립
1) 우리나라 주요 자연재해의 경향성
2) 개념설정
2. 기초변수 및 복합 취약성 분석 논리구조 설정
1) 미래 기후노출 변수선정 근거
2) 현재 민감성 변수선정 근거
3) 현재 적응능력 변수선정 근거
4) 취약성 분석 모형의 기본 구조
5) 복합 취약성 분석 구조 개념 및 논리구조
3. 자연재해 복합 취약성 분석 및 결과
1) 연구범위
2) 취약성 분석에 적용된 기초 공간정보 현황
3)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폭염 및 폭우 취약성 분석결과 도출
4. 탄력성 활용을 위한 취약성 결과 해석
1) 취약성 결과에 따른 일반특성 해석
2) 탄력적 도시설계 반영을 위한 건축관련 지표 해석
3) 취약유형별 현장실태 조사
4) 소결
제4장 폭염·도시홍수 대응 탄력적 도시설계 방안
1. 복합재해 탄력성 확보 원칙
1) 복합취약성 분석 지표 활용
2) 공간 규모에 따른 재해 유형 별 원칙
3) 복합 자연재해 대응을 위한 탄력적 도시설계 원칙
2. 복합재해 대응 탄력적 도시설계의 방향
1) 기본구상
2) 탄력적 도시설계를 위한 디자인 방향
3. 탄력적 도시설계의 정책화 방향
1) 탄력적 도시설계를 위한 쟁점
2) 탄력적 도시설계 개념 도입을 위한 현행 정책 개선방향
3) 탄력적 도시설계 원칙을 고려한 관련 법제도 개선안
제5장 결론
1. 연구요약 및 시사점
1) 연구요약
2) 시사점
2. 연구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1) 연구의 한계
2)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탄력적 도시설계 인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