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선행연구 검토
1.2.1 생활SOC 관련 선행연구
1.2.2 도시재생과 도시정비 연계 관련 연구
1.2.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3 연구 방법 및 구성
제2장 생활SOC 정책의 현황 분석
2.1 생활SOC 관련 정책의 현황
2.1.1 국토부 도시재생 정책과 생활SOC 사업의 연계...
목차 전체
제1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선행연구 검토
1.2.1 생활SOC 관련 선행연구
1.2.2 도시재생과 도시정비 연계 관련 연구
1.2.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3 연구 방법 및 구성
제2장 생활SOC 정책의 현황 분석
2.1 생활SOC 관련 정책의 현황
2.1.1 국토부 도시재생 정책과 생활SOC 사업의 연계
2.1.2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생활SOC 사업의 현황 및 과제
2.2 LH의 생활SOC 관련 사업의 현황 및 과제
2.2.1 LH의 생활SOC 관련 사업 현황
2.2.2 LH 참여 생활SOC사업의 실행력 확보 방안
2.3 정책적 과제
2.3.1 생활SOC 복합화 사업과 도시재생 정책의 연계
2.3.2 시설의 지속가능한 운영관리 방안
2.3.3. 공공기관 참여를 통한 사업의 실행력 제고
제3장 생활SOC 연계형 거점정비 사업모델
3.1 도시재생 신수단의 등장
3.1.1 총괄사업관리자 방식(거점연계형 뉴딜사업)
3.1.2 인정사업
3.2 주거정비형 총괄사업관리자의 도입
3.2.1 기반구축단계
3.2.2 계획수립단계
3.2.3 사업시행단계
3.2.4 운영관리단계
3.3 생활SOC 연계형 주거지재생 유형 구분
3.3.1 지역 생활 서비스형
3.3.2 청년창업 지원형
3.3.3 지역 일자리형
3.3.4 산업단지형
3.3.5 지역의료 특화형
3.4 생활SOC 연계형 거점정비 사업모델 구상
제4장 인천 사례대상지 모델 적용
4.1 대상지 선정 및 현황 분석
4.1.1 대상지 여건 변화
4.1.2 관련계획 검토
4.1.3 대상지 현황 조사
4.2 주민수요 분석
4.2.1 수요조사 개요
4.2.2 관련사업 현황 및 주민 의견
4.2.3 설문조사 결과
4.2.4 생활SOC 수요 조사
4.2.5 종합분석결과
4.3 생활SOC연계형 주거정비사업 시뮬레이션
4.3.1 공공거점 현황 및 건축계획
4.3.2 비용 분석
4.3.3 수입 분석
4.3.4 사업성 및 민감도 분석
제5장 결론
5.1 주거정비형 총괄사업관리자 도입
5.2 공공거점의 토지확보 수단
5.3 생활SOC 연계형 거점정비사업 추진 방안
참 고 문 헌
부 록
부록1. 주거정비형 총괄사업관리자 기획업무 가이드라인
부록2. 노후 저층주거지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주민설문조사 설문지
부록3. 균발위 생활SOC사업가이드라인
부록4. 생활SOC 연계형 거점정비사업 실현을 위한 도시재생3개 신수단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