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고찰
제2장 불평등시대 주택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
1. 사회통합과 포용
2. 사회적 자본
3. 불평등 ; 피케티 21세기 자본론을 중심으로
4. 주택문제에 대한 인식
제3장 우리나라 공공임대주택의 현단계
1. 재고수준
2. 대상(Ta...
목차 전체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고찰
제2장 불평등시대 주택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
1. 사회통합과 포용
2. 사회적 자본
3. 불평등 ; 피케티 21세기 자본론을 중심으로
4. 주택문제에 대한 인식
제3장 우리나라 공공임대주택의 현단계
1. 재고수준
2. 대상(Target) 계층
3. 임대운영체계
4. 사회적 배제문제에 대한 감수성
5. 수요자 인식 실태
5.1 주거실태조사(2018)의 시사점
5.2 자체 설문조사 결과
제4장 주택체제관점에서의 대안적 모색
1. 소셜믹스(social mix) 재검토
1.1 소셜믹스의 이론적 근거
1.2 소셜믹스에 대한 평가
1.3 소셜믹스에 대한 대안적 논의
2. 금융화ㆍ불평등과 주택체제 재검토
2.1 Kemeny(1995, 2006)의 유형구분에 기초한 제 논의
2.2 금융화 이후 주택체제 논의
3. GFC 이후 주요 국가의 주택체제변화 추이
3.1 비교대상 국가군
3.2 영국
3.3 네덜란드
3.4 독일
3.5 프랑스
3.6 스웨덴
3.7 스페인
3.8 소결
제5장 향후 방향과 과제
1. 소셜믹스
2. 공급체계
3. 주택체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