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주민자치의 이론적 검토와 정책 변화
1.지방자치와 주민자치
1)지방자치의 개념 및 필요성
2)주민자치의 개념 및 필요성
2.주민자치의 정책 변화
1)주민자치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
2)주민자치회의 추진과 시범 운영
3)주민자치위원회와 주민자치회 비교
...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주민자치의 이론적 검토와 정책 변화
1.지방자치와 주민자치
1)지방자치의 개념 및 필요성
2)주민자치의 개념 및 필요성
2.주민자치의 정책 변화
1)주민자치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
2)주민자치회의 추진과 시범 운영
3)주민자치위원회와 주민자치회 비교
4)주민자치회 시범실시의 문제점
제3장 경기도 주민자치 환경 및 사례 분석
1.경기도의 일반현황 및 주거 특성 분석
1)경기도 일반현황
2)경기도 주거특성
2.주민자치회 관련 사례 분석
1)행정안전부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사례
2)서울시 주민자치회 사례
2)광주광역시 주민자치회 사례
3)광주광역시 광산구 주민자치회 사례
4)충청남도 주민자치회 사례
5)제주특별자치도 주민자치회 사례
6)일본 시마네현 운남시 사례
7)주민자치화 사례의 시사점
제4장 경기도형 주민자치회 모델 설계 및 운영방안
1.경기도형 주민자치회 모델의 특성 및 차별화
1)경기도형 주민자치회 모델의 기본방향
2)경기도형 주민자치회 전환 시 고려사항
3)경기도형 주민자치회 모델의 원칙
2.경기도형 주민자치회 모델 설계
1)경기도형 주민자치회 운영체계도
2)지역특성에 따른 주민자치회 모델
3)주거형태를 고려한 주민자치 모델
3.경기도형 주민자치회 정착과 운영 방안
1)주민자치회 읍·면·동과의 관계 설정
2)주민자치회 사업 및 기능배분ㅂ
3)주민자치회 재원확보
제5장 경기도의 주민자치회 활성화 지원 전략
1.경기도의 주민자치회 활성화 지원의 계획적 접근
1)주민자치회 지원을 위한 경기도의 계획 강화
2)주민자치회 운영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 예산 지원
3)주민자치회 운영 활성화를 경기도 지속젝 제도 개선
2.경기도의 교육 및 컨설팅 지원 방안
1)교육 및 컨설팅 지원 필요성
2)광역적 지원을 위한 교육 및 컨설팅 내용
3.경기도의 지원조직 및 체제 구축
1)경기도의 주민자치회 지원을 위한 중간지원조직 체제 마련
2)경기도의 주민자치 지원인력 증원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결론
2.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