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연구의 배경
2.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통합물관리 사업 모델의 필요성
제1절 통합물관리 여건과 전망
1.물관리기본법의 제정
2.물관련 조직의 개편
3.통합물관리 동향과 전망
제2절 중소유역 거버넌스의 역할
1.중소유역 거버넌스의 현황과 한계
2.중소유역 ...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연구의 배경
2.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통합물관리 사업 모델의 필요성
제1절 통합물관리 여건과 전망
1.물관리기본법의 제정
2.물관련 조직의 개편
3.통합물관리 동향과 전망
제2절 중소유역 거버넌스의 역할
1.중소유역 거버넌스의 현황과 한계
2.중소유역 거버넌스의 역할 제고의 조건
제3절 상향식 통합물관리 사업발굴의 필요성
1.하향식 물관리 사업 체계의 한계
2.중소유역 거버넌스의형 통합물관리 사업 모델 개발의 필요성
제3장 통합물관리 사업모델 개발
제1절 한강유역 물 관련 현안
제2절 물 관련 현안의 유형 분류
1.공간적 분류와 내용적 유형 분류
2.한강유역 현안의 유형별 분류
제3절 유형별 통합물관리 사업 모델
1.중소유역 통합물관리 사업발굴 절차
2.유형별 가이드라인 제시
제4절 시범지역 선정 및 적용
1.시범지역 선정
2.공릉천 유역 적용
제4장 추진전략
제1절 법·제도적 개선방안
제2절 추진전략
1.중소유역 거버넌스의 역할 제고 전략
2.예산확보를 위한 논리 개발
3.지방정부의 관심 제고 필요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제안
1.통합물관리 완성을 위한 중소유역의 거버넌스 역할 제고
2.중소유역 거번넌스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전략
3.유형별 통합물관리사업 모델의 활용방안
4.중소유역 거버넌스 주체의 유기적 결합 필요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