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경기도형 노동인지예산제도 도입 방안 기초연구 =Basic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Labor Responsive Budgeting in Gyeonggi Province

김태영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태영
민병길
김도균
김성희
박원익
서명/저자사항경기도형 노동인지예산제도 도입 방안 기초연구 =Basic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Labor Responsive Budgeting in Gyeonggi Province /김태영,민병길,김도균,김성희,박원익
발행사항경기 :경기연구원,2019
형태사항59.p :표 ;26cm
총서사항정책연구 ;2019-40
총서부출표목정책연구(경기연구원) ;2019-40
ISBN9791189725709
서지주기참고문헌(p.49-50),Abstract(p.51),부록(p.53-59)수록
비통제주제어노동,노동인지예산,예산제도,노동인지예산제도,노동가치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B040928 10.50-01 김882경 2019 국토연구원/자료실/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정책건의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노동인지예산제도란 무엇인가
 1.노동인지예산제도의 개요
 2.노동인지예산제도의 논의 배경 및 필요성
제3장 노동인지제도 유사 사례 
 1.고용인지 예결산제도
 2.성인지 예산제도
 3.고용영향평가제도
 4.성별영향평가제도
제4장 노동인지예산제도 도입방안
 1.법률안 및 조례안...

목차 전체

정책건의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노동인지예산제도란 무엇인가
 1.노동인지예산제도의 개요
 2.노동인지예산제도의 논의 배경 및 필요성
제3장 노동인지제도 유사 사례 
 1.고용인지 예결산제도
 2.성인지 예산제도
 3.고용영향평가제도
 4.성별영향평가제도
제4장 노동인지예산제도 도입방안
 1.법률안 및 조례안
 2.노동인지예산제도의 기본틀
 3.노동존중가치 지표의 설계와 적용
제5장 결론 및 정책 건의 
 1.결론
 2.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