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중장기 부동산시장 전망과 안정적 시장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Ⅰ) =Real Estate Market Trends and Issues for 2035

이수욱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수욱
박천규
김성일
김지혜
노민지
이태리
전성제
강성우
최진
황관석
단체저자명한국리서치
서명/저자사항중장기 부동산시장 전망과 안정적 시장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Ⅰ) =Real Estate Market Trends and Issues for 2035 /이수욱,박천규,김성일,김지혜,노민지,이태리,전성제,강성우,최진,황관석,한국리서치 [공동연구].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18
형태사항xxiii, 186.p :표 ;25cm
ISBN9791158984014
보고서번호기본 18-31
일반주기 ※외부연구진: 한국리서치
서지주기참고문헌(p.153-158),Summary(p.159-160),부록(p.161-186)수록
비통제주제어부동산시장,부동산전망,부동산정책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719 K 10.40-13 이57중 2018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이 연구는 인구변화, 저성장, 4차 산업혁명 같은 사회경제적 여건변화로 미래의 부동산시장이 어떠한 변화를 겪게 될지 그 변동수준과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음
 연구결과, 인구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감소, 빅데이터 이용 증가, 공기의 질 중시, 주거공유 등이 미래 부동산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부동산을...

초록 전체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이 연구는 인구변화, 저성장, 4차 산업혁명 같은 사회경제적 여건변화로 미래의 부동산시장이 어떠한 변화를 겪게 될지 그 변동수준과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음
 연구결과, 인구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감소, 빅데이터 이용 증가, 공기의 질 중시, 주거공유 등이 미래 부동산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부동산을 보는 관점에서 ‘시장성’ 외에 주거의 ‘공공성’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경향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미래 부동산시장은 초고층 아파트․소형주택 선호 지속, 건강․환경․에너지․스마트 기능을 갖춘 첨단 주택보급 확대, 빅데이터를 이용한 시장분석 및 예측이 일반화됨에 따라  주거생활, 주택유형, 부동산정책 측면에서 현재와는 많은 차이를 보일 전망임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언
 부동산시장 여건변화 대응, 부동산시장 안정, 주거복지 및 주택기능 향상 측면에서 중장기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16개 정책을 제언  
 (여건변화 대응 정책제언) 인구변화에 대응한 주거정책, 고령인구 주거복지정책, 주택개념・유형 등에 관한 새 기준 마련, 부동산정책 지방이관 및 위임사무 정비, 북한 주택시장 개방 대비 등에 관해 정책제언
 (시장안정을 위한 정책제언) 소비자 지향 주택공급 환경 확대, 부동산시장 지역차별화 확대에 대비, 지방마을 소멸로 인한 시장붕괴 완화, 주거정비사업 체계 재편, 통합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지원 강화 등의 정책을 제언
 (주거복지 및 주택기능 향상을 위한 정책제언) 세대별 주거소비패턴 반영, 주거서비스 향상 기준 마련, 기존 건축기준 개선, 패시브하우스 등 보급기준 정비, 노후 공동주택 주거성능 개선기준 마련, IT기술 확산 정책적용 등을 제언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ⅰ
요   약  ⅲ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6
 3. 연구추진체계와 용어의 정의 10
제2장 부동산시장의 주요 정책변화와 2017년의 부동산시장 
 1. 시기별 부동산시장 변동과 주요 특징 17
 2. 시기별 주요 부동산정책과 특징 25
 3. 2017년의 부동산시장 3...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ⅰ
요   약  ⅲ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6
 3. 연구추진체계와 용어의 정의 10
제2장 부동산시장의 주요 정책변화와 2017년의 부동산시장 
 1. 시기별 부동산시장 변동과 주요 특징 17
 2. 시기별 주요 부동산정책과 특징 25
 3. 2017년의 부동산시장 33
제3장 부동산시장 관련분야의 트렌드와 주요 이슈
 1. 부동산시장 관련분야와 트렌드 분석방법론 41
 2. 관련분야별 트렌드와 주요 이슈 45
 3. 소결 81
제4장 부동산시장의 미래 트렌드와 주요 이슈
 1. 미래 트렌드와 주요 이슈의 선정 절차 85
 2. 부동산시장 트렌드와 이슈의 중요도 분석 89
 3. 트렌드별 주요 이슈의 부동산시장 영향력 분석 95
 4. 부동산시장 변동의 주요 요인 분석 104
 5. 소결 108
제5장 부동산시장의 변동수준 분석과 2035년의 부동산시장 전망
 1. 중장기 부동산시장의 변동수준 분석 113
 2. 2035년의 부동산시장 전망 123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의 결론 137
 2.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제언 138
 3. 연구의 학술적·정책적 기대효과 149
 4.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계획 151

참고문헌 153
SUMMARY 159
부   록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