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저성장시대에 대응한 도시‧지역계획 수립의 합리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 the Age of Low Growth

민성희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민성희
김선희
이순자
차은혜
최성연
송정현
서명/저자사항저성장시대에 대응한 도시‧지역계획 수립의 합리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 the Age of Low Growth /민성희,김선희,이순자,김동근,차은혜,최성연,송정현 [공동연구].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18
형태사항xv,161.p :표 ;25cm
ISBN9791158983901
보고서번호기본 18-16
일반주기 ※외부연구진: 최성연, 송정현
서지주기참고문헌(p.127-135),Summary(p.136-138),부록(p.139-161)수록
비통제주제어도시계획,지역계획,저성장대책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708 K 02.10-20 민53저 2018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본 연구는 도시·지역계획에서의 인구 과다추정의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 진단과 이를 개선하여 저성장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화 방안을 제시
 저성장시대의 여건변화에 따른 도시·지역계획의 주요 이슈로 광역화에 따른 도시·지역계획의 광역적 역할 부각, 도시·지역계획 주요지표간 연계성 미흡, 저성장시대에도 인구의 과대추정 등을 도출 
...

초록 전체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본 연구는 도시·지역계획에서의 인구 과다추정의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 진단과 이를 개선하여 저성장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화 방안을 제시
 저성장시대의 여건변화에 따른 도시·지역계획의 주요 이슈로 광역화에 따른 도시·지역계획의 광역적 역할 부각, 도시·지역계획 주요지표간 연계성 미흡, 저성장시대에도 인구의 과대추정 등을 도출 
 도시·군기본계획 사례 분석을 통해서 계획인구의 증가는 사회적 증가에 의한 인구증가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대부분의 계획에서 시가화예정용지가 증가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태를 실증분석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안
 도시·지역의 다양한 여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도시의 유형에 따라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개선
 저성장도시에서는 총량 인구 지표가 아니라, 좀 더 세분화된 인구구조 지표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며 상주인구를 기반으로 한 인구추정에서 유동인구, 체류인구, 관광인구 등의 인구지표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확대될 필요
 인구추정에 있어서 종래의 총인구 산정 방식에서 드러난 인구 과다추정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인구추정모형의 도입 필요
 저성장시대에 접어들었으나 지역적으로는 여전히 성장하는 시군이 존재하므로 도시·군기본계획의 방향과 내용을 도시의 유형에 맞추어 설정하는 것이 필요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i
요    약 iii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5
 3. 연구의 흐름 8
 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9
 5. 연구의 정책적·학술적 기대효과 11
제2장 주요 개념 및 도시·지역계획 현황
 1. 주요 개념 15
 2. 도시‧지역계획 수립 현황과 한계 21
제3장 저성장...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i
요    약 iii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5
 3. 연구의 흐름 8
 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9
 5. 연구의 정책적·학술적 기대효과 11
제2장 주요 개념 및 도시·지역계획 현황
 1. 주요 개념 15
 2. 도시‧지역계획 수립 현황과 한계 21
제3장 저성장시대의 도시·지역계획 수립 여건변화 및 관련 이슈
 1. 저성장이 도시·지역계획에 미치는 영향 31
 2. 주요 이슈와 인구지표 40
제4장 도시·지역계획 관련 주요 이슈 실증분석
 1. 분석의 개요 55
 2. 목표인구 57
 3. 토지이용계획 78 
 4. 부문별계획 92
 5. 분석결과 종합 100
제5장 도시·지역계획 수립의 합리화 방안
 1. 합리화 방안 105
 2. 법‧제도 개선사항 115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연구결과 종합 123
 2. 주요 연구의 성과 125

참고문헌  127
SUMMARY  136
부   록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