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기대효과 6
2.연구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내용 및 방법 8
3) 연구수행과정 9
3.선행연구 검토 10
1) 공원녹지 분야 지표 관련 연구 10
2) 국토 및 도시계획 분야 지표 관련 연구...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기대효과 6
2.연구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내용 및 방법 8
3) 연구수행과정 9
3.선행연구 검토 10
1) 공원녹지 분야 지표 관련 연구 10
2) 국토 및 도시계획 분야 지표 관련 연구 12
3) 기타 분야 지표 관련 선행연구 13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제2장 국내 공원녹지 관련 지표 현황 및 문제점
1. 지표 관련 이론 고찰 15
1) 지표의 개념과 유형 15
2) 사회지표의 개념과 발전과정 18
2. 관련 분야 공원녹지 지표 활용현황 검토 22
1) 국가지표체계 22
2) 국토 및 도시 분야 공원녹지 지표 활용 현황 29
3) 활용현황 종합 및 한계 32
3. 국내 주요도시 공원녹지 지표 활용실태 분석 34
1) 국내 공원녹지 지표 개발 현황 34
2) 주요도시 공원녹지 지표 활용 현황 36
3) 국내 공원녹지 지표 운용 현황 종합 및 문제점 51
4. 공원녹지 지표와 공원녹지 서비스수준 관계 분석 58
1) 설문조사 개요 58
2) 설문조사 결과 62
3) 시사점 73
제3장 해외 공원녹지 지표 개발 및 운용사례
1. 영국 76
1) 공원녹지 정책 및 제도 76
2) 공원녹지 지표 80
2. 일본 88
1) 공원녹지 정책 관련 여건변화 88
2) 공원녹지 정책 및 제도 90
3) 공원녹지 지표 체계 97
3. 미국 106
1) 공원녹지 정책 및 제도 106
2) 공원녹지 지표 체계 115
4. 독일 125
1) 공원녹지 정책 및 제도 125
2) 공원녹지 지표 130
5. EU 132
1) Indicators for Urban Green Infrastructure 132
2) Proximity of Green Areas 134
3) Indicators for Sustainability 내 Green spaces 지표 136
6. 해외사례 종합 및 국내 시사점 138
1) 해외사례 종합 138
2) 국내 시사점 144
제4장 정책여건 변화에 대응한 공원녹지 지표 개발방안
1. 공원녹지 지표 개선 및 개발방향 도출 147
1) 공원녹지 정책 관련 여건 변화 147
2) 현행 공원녹지 지표의 한계와 문제점 150
3) 국내 공원녹지 지표 개선 및 개발방향 151
2. 공원녹지 지표 개발을 위한 추진방안 마련 153
1) 공원녹지 정책방향 154
2) 공원녹지 지표개발 과정 및 방법 155
3) 공원녹지 지표 운영방안 156
제5장 연구 요약 및 향후 과제 159
참고문헌 161
SUMMARY 167
부록 173
1. 영국 캠브리지셔 공원녹지 정책 173
2. 공원녹지 서비스에 대한 주민인식조사 설문지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