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부
발간사 i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ⅲ
요약 ⅳ
제I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체계 3
1) 2차년(2013-2014년) 연구추진 프레임워크 3
2) 2014년도 연구추진 프레임워크 3
3. 연구 추진방법 6
1) 문헌 검토 6
2) 근린환경 ...
초록 전체
발간사 i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ⅲ
요약 ⅳ
제I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체계 3
1) 2차년(2013-2014년) 연구추진 프레임워크 3
2) 2014년도 연구추진 프레임워크 3
3. 연구 추진방법 6
1) 문헌 검토 6
2) 근린환경 진단을 위한 연구방법 6
3) 근린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방법 7
4) 관련기관 자문 및 협동연구 추진 7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8
제II장 건강도시 진단의 내용 및 방법 13
1. 건강도시 진단의 목표와 실천전략 13
1) 건강도시 가이드라인 재분류의 필요성 14
2) 건강도시 진단의 목표와 실천전략 도출 17
2. 건강도시 목표별 진단내용 20
1) 진단내용 설정의 기준 21
2) 세부 진단내용 21
3.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진단 방법론 정립 24
1) 진단도구의 필요성과 역할 24
2) 해외사례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진단방법 24
3) 본 연구의 건강도시 진단을 위한 삼각검증 기법 활용 31
제III장 건강도시 진단도구 개발 35
1. 진단도구 개발의 목적 35
2.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방법 및 단계 36
1) 진단도구 개발방법 36
2) 수행단계 40
1) 사례 대상지 추출 40
2) 도면·데이터 분석 44
3) 현장조사 54
4) 주민설문조사 79
5) 분석종합 및 해석 87
제Ⅳ장 건강도시 진단도구의 시범적용 및 개선방안 도출 95
1. 시범적용 지자체 선정 95
1) 시범적용의 목적 95
2) 시범적용 지자체 선정 96
2. 진단 단계별 조사 및 분석결과 98
1) 사례 대상지 추출 98
2) 도면·데이터 분석 104
3) 현장조사 109
4) 주민설문조사 116
5) 시범적용 지자체의 현장조사 및 주민설문조사 종합 122
3. 개선방안 도출 125
1) 사례지역 내 우선처방지역 파악 126
2) 우선처방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실시 128
3) 우선처방지역의 개선안 도출 135
4) 개선방안 마련에 대한 평가 148
4. 소결 149
제Ⅴ장 건강도시를 만들기 위한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 작성 153
1.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 개요 153
1) 목적 및 적용범위 153
2)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의 역할 154
2 근린환경 진단시 고려사항 154
1) 근린환경 진단의 기본방향 154
2) 근린환경 진단의 범위 및 내용 155
3) 근린환경 진단의 방법 및 단계 157
3. 근린환경 개선시 고려사항 157
1) 근린환경 개선의 기본방향 157
2) 근린환경 개선의 방법 및 단계 158
4. 요약 159
제Ⅵ장 건강도시 진단 및 개선 안내서 활용방안 167
1.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개요 167
2. 도시계획수립 차원에서의 활용방안 169
1) 주요 도시계획에서 ‘시민의 건강과 웰빙’을 포함한 계획 수립 169
2) 지역 맞춤형 건강한 도시계획 수립에 활용 172
3. 도시정비 차원에서의 활용방안 175
1)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도시정비 사업과 연계 175
2)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도시정비 사업과 연계 184
3) 기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주요한 기존 정책 및 사업 187
제Ⅶ장 결론 191
1. 주요 결론 191
1) 연구의 특징 191
2) 건강도시 진단의 범위와 내용 제시 192
3) 건강도시 진단도구 개발 193
4) 건강도시 진단도구의 시범적용 및 개선방안의 예시적 도출 194
5) 건강도시 진단 및 개선 안내서 활용방안 195
6) 제도적 개선방안 195
2. 연구의 기여도 196
1) 학술적 기여도 196
2) 정책적 기여도 197
3. 향후 연구과제 199
참고문헌 201
SUMMARY 205
부록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