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발굴 연구개요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2
3. 기존 연구성과 및 중장기 추진방향 / 3
제2장 [한옥의 인문학적 가치] 가신과 당호로 본 한옥의 세계관 / 5
1. 연구개요 / 5
1) 한옥의 세계관 접근을 위한 전제 / 6
...
목차 전체
제1장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발굴 연구개요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2
3. 기존 연구성과 및 중장기 추진방향 / 3
제2장 [한옥의 인문학적 가치] 가신과 당호로 본 한옥의 세계관 / 5
1. 연구개요 / 5
1) 한옥의 세계관 접근을 위한 전제 / 6
2) 연구의 방법 / 8
3) 가신 관련 선행연구 검토 / 9
4) 당호 관련 선행연구 검토 / 12
5) 가신 및 당호 주요연구자 정보 / 13
2. 가신을 통해 본 한옥의 세계관 / 15
1) 가신의 종류와 역할 / 15
2) 가신이 관장하는 한옥공간의 영역 / 23
3. 당호를 통해 본 한옥의 세계관 / 28
1) 당호 조사 / 28
2) 당호의 출처와 연원 / 31
4. 소결 / 48
1) 가신, 당호를 통한 한옥의 이해 / 48
2) 현대주거문화에 있어서 한옥세계관의 적용방안 / 49
3) 전통문화 콘텐츠로서의 "신"의 가능성 _ 관련사계 / 51
제3장 [한옥문화의 세계화] 한옥의 설명방식 / 53
1. 연구개요 / 53
2. 건축유산의 안내문안 구성과 형식 / 55
1) 세계문화유산의 등재기준과 가치서술 / 55
2) 국내 문화재안내문 가이드라인 / 62
3. 주요 문화재급 한옥의 안내문안 구성 분석 / 68
1) 분석대상 / 68
2) 한옥의 안내문안 분석을 위한 내용 분류 / 68
3) 주요문화재급 한옥의 안내문안 구성 / 69
4. 소결 / 78
제4장 연구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 / 79
1. 연구성과 및 한계 / 79
2. 향후 진행방향 / 80
1) 연구 추진방향 / 80
2) 콘텐츠 서비스 기획 : 웹서비스 및 홍보물 제작 / 82
참고문헌 / 85
부록1. 주요 단행본 및 보고서를 통해 본 가신 / 90
부록2. 당호분석 기초자료 / 102
부록3. 국가지정문화재 안내문안 분석 기초자료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