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Ⅰ) :건강도시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실증분석 ,<협동연구 부문별 보고서> =(A) Study on the making healthy cities in the era of wellbeing(Ⅰ) : Empirical studies for the healthy city guideline

김태환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태환
김은정
전혜선
강미나
김성수
양진홍
서명/저자사항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Ⅰ) :건강도시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실증분석,(A) Study on the making healthy cities in the era of wellbeing(Ⅰ) : Empirical studies for the healthy city guideline /김태환;김은정;전혜선;강미나;김성수;양진홍.
발행사항안양 :국토연구원,2013.
형태사항521 p. :삽화 ,26 cm.
총서사항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13-22-02
ISBN9788981825119
보고서번호국토연 2013-36 1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웰빙사회,건강도시 조성,건강도시 가이드라인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12067 K 02.30-15 김882웰 v.2 국토연구원/자료실/ 대출중 2023-05-21 예약가능

초록 일부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이란 질병이나 단지 허약한 상태가 아닐 뿐만 아니라 육체적·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즉 건강이라는 것은 보건적 측면에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반에서 함께 다루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삶의 질 제고를 위해 도시민의 ‘건강과 고령친화’를 도시정책의 중심에...

초록 전체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이란 질병이나 단지 허약한 상태가 아닐 뿐만 아니라 육체적·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즉 건강이라는 것은 보건적 측면에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반에서 함께 다루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삶의 질 제고를 위해 도시민의 ‘건강과 고령친화’를 도시정책의 중심에서 다루고 있다.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시민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도시정책적 차원에서 이에 대한 대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인식이 미약할 뿐 아니라 공공의 대응도 보건의료 중심으로 협소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삶의 질 향상 차원에서 건강한 도시환경에 대한 요구 증대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한국형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기반마련과 실천이 시급한 때이다. 
이 연구는 국민행복시대를 선도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도시민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도시환경을 한국형 건강도시로 재창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 현실에 부합하는 도시계획요소와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도시계획요소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며, 이를 기반으로 건강도시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본방향은 우선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을 통해 시민의 건강증진이 구현될 수 있는 도시를 지향한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원칙적으로 도시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도시기본계획 수준에서 건강증진을 고려하는 지침적 성격의 가이드라인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목차 일부

연구의 구성 및 내용 
발 간 사 

I. 서론 
Ⅱ. 대구광역시 지역사회 건강지표 분석 
Ⅲ. 도시환경이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Ⅳ. 사회환경이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Ⅴ.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공원 녹지계획 가이드라인 연구 
Ⅵ. 건강한 근린환경 조성을 위한 보행통행 활성화 방안 연구 
Ⅶ. 교통소음과 도시 거주민의 건...

목차 전체

연구의 구성 및 내용 
발 간 사 

I. 서론 
Ⅱ. 대구광역시 지역사회 건강지표 분석 
Ⅲ. 도시환경이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Ⅳ. 사회환경이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Ⅴ.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공원 녹지계획 가이드라인 연구 
Ⅵ. 건강한 근린환경 조성을 위한 보행통행 활성화 방안 연구 
Ⅶ. 교통소음과 도시 거주민의 건강에 관한 연구 
Ⅷ. 건강도시의 건강증진지표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Ⅸ.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