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부
1장 서론은 본 연구의 목적과 배경, 연구방법 등을 서술하였다. 또한, 기존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주안점으로 다루어야 하는 연구내용과 목적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특성 및 삶의 질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와 이론과 함께 본 연구의 차별성을 검토하였다.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들의 삶의 질의 개념을 정의하...
초록 전체
1장 서론은 본 연구의 목적과 배경, 연구방법 등을 서술하였다. 또한, 기존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주안점으로 다루어야 하는 연구내용과 목적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특성 및 삶의 질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와 이론과 함께 본 연구의 차별성을 검토하였다.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들의 삶의 질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소를 고찰하였으며 특히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징을 감안하여 장기공공임대주택단지에 적용 가능한 삶의 질 구성요소를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들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현행 지원제도를 살펴보았다. 장기공공임대주택과 관련되는 법으로는 임대주택법,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지원법과 협동조합기본법, 사회적 기업육성법 등이 있다. 관련법에서 포함하고 있는 삶의 질의 구성요소는 적정 주거소비와 주거부담, 일자리, 보육, 방과 후 공부방, 노인ㆍ장애인돌봄, 커뮤니티활성화,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 건강지원, 생애교육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4장에서는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들의 삶의 질 구성요소별 실태를 살펴보았다. 공급주체별로는 사회복지관, 정부 및 공기업 등이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 관리사무소와 비영리조직 등이 있다. 삶의 질 운영사례로는 일자리 창출, 보육서비스 제공, 방과 후 공부방, 장애인ㆍ노약자 돌봄 등의 항목별로 구분하여 현재 운영 중인 사례를 통해 실태를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