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발간사 ⅰ
요약 ⅲ
제 1 장 서론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1) 분석대상 및 연구내용 5
2) 연구방법 및 수행절차 5
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와 차별성 7
1) 선행연구의 검토 7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9
제 2 장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실태와 ...
목차 전체
발간사 ⅰ
요약 ⅲ
제 1 장 서론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1) 분석대상 및 연구내용 5
2) 연구방법 및 수행절차 5
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와 차별성 7
1) 선행연구의 검토 7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9
제 2 장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실태와 개선과제
1.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개념과 특징 11
1)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개념 11
2)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원인 12
3)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발생 실태 15
2.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유형과 특징 16
1) 공공시설 입지갈등의 특징 16
2) 갈등의 주체에 따른 유형 분류 18
3) 갈등의 성격에 따른 유형 분류 20
4) 갈등의 이슈에 따른 유형 분류 23
3. 공공시설 입지갈등 예방을 위한 개선과제 26
제 3 장 공공시설 입지갈등 예방을 위한 GIS기반 방법론 및 적용사례
1. 방법론의 검토 배경 29
2. ‘내용상의 갈등’ 최소화와 다기준의사결정기법(MDA) 30
1) 합의형성의 개념과 다기준의사결정기법(MDA) 30
2)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의 원리 34
3)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의 활용방법 41
4) 다기준의사결정기법(MDA)의 입지갈등 예방 활용사례 45
3. ‘과정상의 갈등’ 최소화와 참여형 GIS(PPGIS) 47
1) 참여형 GIS(PPGIS)의 개념 47
2) 참여형 GIS(PPGIS)의 구성요소 49
3) 참여형 GIS(PPGIS) 적용사례 51
제 4 장 공공시설 입지갈등 예방을 위한 GIS기반 합의형성지원모형 정립
1. GIS기반 합의형성지원모형의 기본방향 53
1) 기본방향 및 목표 53
2) GIS기반 합의형성지원모형의 구성 55
2. GIS기반 합의형성지원모형의 구축방안 56
1) 합의형성을 위한 GIS의 역할 56
2) GIS기반 합의형성지원모형의 단계별 적용방안 58
3) GIS기반 합의형성지원모형의 유형별 적용방안 61
3. GIS기반 합의형성지원모형의 실험 적용 및 시사점 67
1) 개요 및 시나리오 설정 67
2) 지역특성 및 갈등유발지표 사전 모니터링 68
3) MDA와 PPGIS를 이용한 공공시설 입지분석 69
제 5 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및 정책 제언 75
1) 연구결과의 정책적 유용성 75
2) 정책 제언 및 제도개선 과제 76
2. 연구의 한계와 후속과제 제안 78
1) 연구의 한계 78
2) 후속과제 제안 79
참고문헌 83
SUMMARY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