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장(서장): 유비쿼터스 사회의 두 얼굴: 통제사회와 문화사회
1부 : 유비쿼터스 시대 지식생산의 새 패러다임: 두 문화의 비환원주의적 통섭
2장 21세기 과학·기술 혁명에 대한 철학적 성찰: ‘GNR’ 혁명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3장 문화와 과학의 변증법적 절합
2부 : 비환원주의적 통섭을 통한 예술과 인문학의 창조적 혁신 ...
목차 전체
1장(서장): 유비쿼터스 사회의 두 얼굴: 통제사회와 문화사회
1부 : 유비쿼터스 시대 지식생산의 새 패러다임: 두 문화의 비환원주의적 통섭
2장 21세기 과학·기술 혁명에 대한 철학적 성찰: ‘GNR’ 혁명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3장 문화와 과학의 변증법적 절합
2부 : 비환원주의적 통섭을 통한 예술과 인문학의 창조적 혁신
4장 제3공간의 출현과 예술과 과학기술 통섭의 철학적 전망
5장 예술·인문학·과학기술 통섭의 개념과 방법
6장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한국의 고등교육정책과 인문학의 역할: 과학기술중심의 학문간 융·복합에 내재한 위험과 인문학 혁신을 중심으로
3부 : 유비쿼터스 시대의 공시성의 체계와 새로운 문화정치
7장 미국 기술혁신의 엔진, GNR 혁명의 명과 암
8장 유비쿼터스-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탈근대 문화정치: 맑스-벤야민-맥루한의 성좌적 배치와 새로운 주체성의 생산
9장 ‘유비쿼터스 도시’의 출현과 대안적 도시인문학의 과제
10장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시공간-미디어공간의 문화·정치적 상호작용
11장(종장) 유비쿼터스 시대의 새로운 학술운동과 사회운동: 이념적 통섭과 프랙탈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