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친환경·에너지절감형 자동차의 이용활성화 방안 =(A) Strategy intruments for promoting the energy-efficient and clean vehicles

황상규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황상규
박상준,박용일
서명/저자사항친환경·에너지절감형 자동차의 이용활성화 방안 =(A) Strategy intruments for promoting the energy-efficient and clean vehicles /황상규 ;박상준 ;박용일 연구.
발행사항고양 :한국교통연구원,2008.
형태사항150 p. :삽화 ,25 cm.
총서사항연구총서 ;2008-08
총서부출표목연구총서(한국교통연구원) ;2008-08
ISBN9788955032925
서지주기참고문헌 및 부록, Abstract 수록
비통제주제어자동차 공동이용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B35126 06.20-01 황51친 국토연구원/자료실/ 대출가능

초록 일부

정부는 2012년 하이브리드차량 3만대를 보급하고, 그린카 4대 강국으로 도약하려는 비전을 제시한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 의한 연료절감과 대기환경보호를 위한 다양한 교통정책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 보유 및 이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 연료효율측면에서 비효율적인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중․대형차량’의 보유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

초록 전체

정부는 2012년 하이브리드차량 3만대를 보급하고, 그린카 4대 강국으로 도약하려는 비전을 제시한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 의한 연료절감과 대기환경보호를 위한 다양한 교통정책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 보유 및 이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 연료효율측면에서 비효율적인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중․대형차량’의 보유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득증가로 편안하고 안전한 중․대형차를 구입하려는 구매 욕구를 무리한 규제정책을 통하여 경차 이용을 강요하는 것보다는 친환경 차량 기술을 개발․보급하여 에너지 절감과 환경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야말로 보다 미래지향적이며 생산지향적 접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국내 자동차 기술수준이나 생산능력을 감안할 때, 친환경 자동차 여건은 녹록치 않습니다. 일본은 이미 하이브리드차량을 출시하여 친환경 차량시장을 선점하였고,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도 자국의 환경을 고려한 특화된 자동차를 개발하여 친환경 차량 시장에서 각축을 벌이는 등 대륙별 특화된 친환경 자동차 기술개발 및 보급을 추진 중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친환경 자동차정책을 다룬 본 연구가 수행됨으로써 향후 친환경 자동차정책 방향설정에 일조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시의적절한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좋은 보고서를 위해서 아낌없는 격려와 지적을 해 주신 외부 심의위원들의 노고에 깊은 사의를 표하며,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수차례 개최된 자동차정책세미나에 참여하여 좋은 아이디어와 토론을 하여 주신 자동차전문가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특히, 연구협력위원으로 참여를 기꺼이 허락하여 각종 정책현안자료 제공과 조언을 하여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여러 형태로 협조한 국토해양부의 여러 공무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목차 일부

표 목 차 ⅶ
그림목차 ⅸ
요 약 x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6
제3절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 11

제2장 국내 자동차 보유․이용 실태 및 문제점 17
제1절 자동차등록대수의 변화 추이 / 17
제2절 자동차 보유․이용 실태의 문제점 / 22
제...

목차 전체

표 목 차 ⅶ
그림목차 ⅸ
요 약 x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6
제3절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 11

제2장 국내 자동차 보유․이용 실태 및 문제점 17
제1절 자동차등록대수의 변화 추이 / 17
제2절 자동차 보유․이용 실태의 문제점 / 22
제3절 자동차 보유․이용 실태분석의 시사점 / 31

제3장 국내외 친환경 자동차의 지원정책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34
제1절 해외 친환경 자동차의 개념과 특성 / 34
제2절 해외의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지원 현황 / 48
제3절 국내 친환경 자동차 지원 현황 및 문제점 / 54
제4절 정책적 시사점 / 64

제4장 친환경 자동차 이용활성화 대안 평가 및 제도개선 방향 68
제1절 친환경 자동차 이용활성화 대안 평가 / 68
제2절 친환경 자동차 이용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향 / 79
제3절 제도개편에 따른 파급효과(자동차세 개편을 중심으로) / 86

제5장 결론 및 정책건의 106
제1절 결론 / 106
제2절 친환경 자동차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건의 / 109

참고문헌 113

부 록 117

Abstract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