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제1편 선사
1. 도구 사용과 무리생활
2. 농사짓기와 정착생활
제2편 고대
1. 금속기 문화와 고조선
1 계급 분화와 국가 성립
2 단군과 고조선
3 고조선의 변천과 멸망
4 한 군현과 토착 세력
2. 초기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부여의 성립과 역사 전개
2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3 옥저와 동예 그리고 삼한 소국...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제1편 선사
1. 도구 사용과 무리생활
2. 농사짓기와 정착생활
제2편 고대
1. 금속기 문화와 고조선
1 계급 분화와 국가 성립
2 단군과 고조선
3 고조선의 변천과 멸망
4 한 군현과 토착 세력
2. 초기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부여의 성립과 역사 전개
2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3 옥저와 동예 그리고 삼한 소국
3. 삼국의 발전과 가야
1 고구려의 영역 확장과 지배체제 정비
2 백제의 성장과 마한 통합
3 진한 사로국에서 신라로
4 가야의 여러 나라
4. 삼국의 항쟁과 지배체제 정비
1 고구려의 영토 확장과 평양 천도
2 백제의 천도와 지배체제 정비
3 신라의 지배체제 정비와 영토 확대
5. 삼국의 정치·사회·경제
1 지배구조와 정치제도
2 사회계층과 신분제
3 수취제도와 경제생활
6. 삼국의 문화와 예술
1 한자문화의 수용과 역사서 편찬
2 신앙과 종교
3 건축과 예술
제3편 통일신라·발해
1. 동아시아 정세와 통일전쟁
1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삼국의 대응
2 나당 연합과 백제의 멸망
3 고구려의 멸망과 나당전쟁
2. 신라의 지배체제 재정비와 정치 변동
1 평화 속 체제 안정
2 왕위 다툼과 정국 혼란
3 호족의 등장과 후삼국 분열
3. 신라의 정치·사회·경제
1 통치기구와 지배조직
2 토지제도와 경제생활
3 사회구조와 생활상
4. 신라 통일기의 사상과 문화
1 사상과 종교 2 문학과 예술
5. 발해의 지배구조와 문화
1 건국과 발전
2 발해의 멸망과 유민의 동향
3 정치제도와 주민구성
4 사상과 문화
제4편 고려
1. 고려 전기의 정치와 체제 정비
1 고려의 건국과 왕권 확립
2 지배 세력과 국가체제의 정비
3 숙종-인종대의 정치 변동
2. 고려 후기의 정치와 체제 변동
1 무신정권의 형성과 민의 봉기
2 몽골(원)의 간섭과 고려의 정치
3 개혁 정치와 고려의 몰락
3. 고려의 국제관계와 전쟁, 교류
1 다원적 국제질서와 국제관계
2 몽골과의 전쟁과 강화
3 일원적 세계질서로 변동
4. 고려의 경제구조와 생활
1 토지제도와 농장
2 수취제도의 운영과 교통
3 농업생산력과 농업기술
4 상공업의 발달
5. 고려의 사회구조와 변동
1 신분제의 운영과 동요
2 가족제와 여성의 지위
3 사회정책과 율령제
6. 고려의 사상과 문화
1 불교계의 동향과 불교문화
2 유교사상의 전개와 유교의례
3 도교·풍수도참·민간신앙
4 과학과 문화의 발달
제5편 조선
1. 조선왕조의 성립과 체제
1 조선왕조의 성립
2 새로운 국가체제의 정비
3 중앙과 지방의 행정조직
4 대외관계와 군사조직
5 관료 선발과 교육제도
2. 조선 전기의 경제 운영과 사회구조
1 과전법의 운영과 수취체제의 변화
2 농업 경영과 생산력의 발달
3 국가적 상업 통제와 관영 수공업체제의 형성
4 신분제의 구조와 운영
3. 조선 전기 학문과 문화의 발달
1 성리학의 수용과 보급
2 과학기술의 발달
3 문화의 발달
4. 조선 중기 사림의 성장과 붕당
1 사림의 성장
2 붕당의 발생
3 성리학의 심화
5. 두 차례의 전쟁과 전후 복구
1 임진왜란과 대일관계
2 병자호란과 대청관계
3 전후 국가체제 정비
4 재지사족과 지방사회
6.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
1 정치질서의 재편
2 탕평정치의 실시
3 세도정치의 등장과 폐해
7. 조선 후기 경제 발달과 사회 변동
1 부세제도의 개편
2 농업 발달과 지주제의 변동
3 상공업의 성장과 무역의 발달
4 서울과 지방사회의 변화
5 신분제와 가족·친족제의 변화
6 민중 저항의 양상
8. 조선 후기 사상과 문화의 새로운 흐름
1 화이론과 성리학
2 실학의 전개와 역사 연구
3 천주교와 민중사상의 등장
4 문화의 새로운 흐름
시각자료 소장처 및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