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편 주택정책과 도시정책
제1장 주택정책과 도시정책
주택정책이란
도시정책이란
'특별한'주택공급대책
왜 도시주택정책인가?
도시주택정책이란?
제2편 여건변화와 주택정책
제2장 인구 및 가구변화와 주택시장
주택시장 변화양상
인구 및 가구 구조 변화와 주택수요와의 동태적 관계
인구 및 가구 수 추이의 변동성
가구 구조 변화와...
목차 전체
제1편 주택정책과 도시정책
제1장 주택정책과 도시정책
주택정책이란
도시정책이란
'특별한'주택공급대책
왜 도시주택정책인가?
도시주택정책이란?
제2편 여건변화와 주택정책
제2장 인구 및 가구변화와 주택시장
주택시장 변화양상
인구 및 가구 구조 변화와 주택수요와의 동태적 관계
인구 및 가구 수 추이의 변동성
가구 구조 변화와 주택서비스 수요특성 변화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를 고려한 수도권 주택수요 예ㅊ그
가구수 변화로 본 주택시장전망
제3장 수도권집중과 주택정책
인구의 도시집중현상
수도권으로 왜 몰리고 있는가?
수도권 주택문제의 원인은?
수도권 집중 주택시장에 미치는 결과
한국의 수도권도 일본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까?
수도권집중에 따른 사회적 비용 해소방안
제4장 기후변화와 주택
기후변화의 양상
기후변화와 도시와의 관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선도적 움직임
미기후 및 열쾌적성의 고려
기후변화 대응 국외 주택계획 사례
기후행동계획(Climate Action Plan)
저감, 적응, 회복력 증진을 위한 도시주택 계획의 방향
도시주택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제도적 노력
제5장 주거비부담과 도시주택
주거비부담 진단방향
주거비부담의 측정과 정책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거비부담의 공간적 분포
주거교통부담지표를 통한 도시개발
제6장 주택의 소요, 수요, 선호의 변화
주택 소요(Needs)
주택 수요(demands)와 선호(wants)
Mankiw-Weil 모형과 주택 수요(소요)
가구생애주기와 코호트 효과
소비목적수요와 투자목적수요
주택공급과의 관계
주택수요 추정방향
제3편 도시정책과 주택정책
제7장 좋은 주택과 좋은 도시계획
좋은 주택, 좋은 도시계획
좋은 주택의 수요를 정확히 추정하는가?
좋은 주변 환경을 찾아주고 있는가?
부담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도시계획
좋은 주택을 만들어내지 못한 결과
좋은 주택을 만들어내는 공간계획
제8장 도시기반시설과 주택
주거와 기반시설의 관계
주요 계획 및 도시개발 관계법으로 본 기반시설들
수도권 신도시로 살펴보는 주택과 기반시설의 관계
(일자리와 그에 대한 접근 필요)
시장(market)이 공급하는 어메니티(amenity)시설의 힘
주택 문제에 대해서 앞으로 도시계획은 무엇을 하여야 할까?
제9장 상권·교육·환경과 주택정책
주거환경차원에서의 논의
상권의 개념
상권활성화 관련 정책
교육과 주택정책
환경과 주택정책
근린주거환경과 주택정책
15분 도시와 주택정책
도시회복력(리질리언스)을 지향하는 장기적인 도시주택정책 전략
제4편 주택공급정책
제10장 주택정책과 공급제도
현대사회의 주택문제
주택공급제도의 도입과 변천
주택공급과 관련 법체계
입주자 저축제도와 주택공급
주택공급정책과 도시정책의 조화
제11장 주택정책의 분권화
지방분권의 필요성
해외의 주택정책 지방분권 사례
주택정책의 지방분권화를 둘러싼 쟁점
제12장 주택공급자로서 공공과 민간의 역할
정부의 주택시장 개입의 순기능과 역기능
공공부문의 역할과 개발주체의 다양화
공공부문의 한계
공공과 민간의 역할 재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