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DID추정
1.1 평균 처리효과
1.2 패널데이터에서 ATE 추정
1.3 Parallel-trend 가정 검정
1.4 Stata 예제
1.5 Stata do file
제2장 PSM-DID 추정
2.1 필요성과 추정방법
2.2 Stata 예제: 성향점수 매칭
2.3 Stata 예제: PSM-DID 추정
2.4 Stata do file...
목차 전체
제1장 DID추정
1.1 평균 처리효과
1.2 패널데이터에서 ATE 추정
1.3 Parallel-trend 가정 검정
1.4 Stata 예제
1.5 Stata do file
제2장 PSM-DID 추정
2.1 필요성과 추정방법
2.2 Stata 예제: 성향점수 매칭
2.3 Stata 예제: PSM-DID 추정
2.4 Stata do file
tip 2.1 Multiple 매칭인 경우 데이터 세트 만들기
제3장 Regression Discontunuity Design
3.1 RDD 기본 개념
3.2 ATE 추정: Sharp Design
3.3 ATE 추정: Fuzzy Design
3.4 Stata 예제: Sharp RDD
3.5 Stata 예제: Fuzzy RDD
3.6 Stata do file
부록 3.1: 식 3.4 증명
제4장 도구변수와 처리효과
4.1 내생성과 도구변수
4.2 Wald 추정량
4.3 최우추정량과 Control 함수 추정량
4.4 Stata 예제
4.5 Stata do file
부록 4.1: 식 4.18과 식 4.19 증명
제5장 패널 선형회귀모형 이해
5.1 패널 선형회귀모형 개요
5.2 고정계수 모형
5.3 가변절편 모형
5.4 Stata 예제
5.5 Stata do file
제6장 패널 선형회귀모형:상관 이질성
6.1 Wooldridge 확률효과 모형
6.2 Robust Hausman 검정
6.3 FEVD 추정량
6.4 Stata 예제
6.5 Stata do file
제7장 교차 확률효과 모형
7.1 횡단면 데이터에서 응용
7.2 패널데이터에서 응용
7.3 Stata 예제
7.4 Stata do file
제8장 패널 공적분 검정
8.1 공적부 검정의 필요성
8.2 Kao 검정
8.3 Pedroni 검정
8.4 Westerlud 검정
8.5 Stata 예제
8.6 Stata do file
제9장 동적 패널회귀모형
9.1 패널 동적 OLS 추정량
9.2 MG 및 PMG 추정량
9.3 FMOLS 추정량
9.4 Stata 예제
9.5 Stata do file
제10장 패널 그랜저 인과관계
10.1 시계열 데이터에서 그랜저 검정
10.2 패널데이터에서 그랜저 검정(1)
10.3 패널데이터에서 그랜저 검정(2)
10.4 Stata 예제
10.5 Stata do file
제11장 Two-part 모형 및 허들 모형
11.1 Two-part 모형
11.2 이중 허들 모형
11.3 패널 이중 허들 모형
11.4 Stata 예제
11.5 Stata do file
제12장 Heckman 선택 모형
12.1 Heckman 선택 모형: 연속형 종속변수
12.2 Heckma 선택 모형: 순서형 종속변수
12.3 패널 Heckman 선택 모형
12.4 Stata 예제
12.5 Stata do file
제13장 Zero-inflated 모형
13.1 Zero-inflated 포아송 모형
13.2 Zero-inflated 음이항 모형
13.3 Zero-inflated 순서형 프로빗 모형
13.4 Stata 예제
13.5 Stata do file
제14장 선택 모형(1)
14.1 조건부 로짓 모형
14.2 McFadden 로짓 모형
14.3 혼합 로짓 모형
14.4 Stata 예제
14.5 Stata do file
제15장 선택 모형(2)
15.1 다항 프로빗 모형
15.2 Nested 로짓 모형
15.3 Stata 예제
15.4 Stata do file
제16장 잠재성장 모형
16.1 멀티레벨 모형 접근
16.2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
16.3 Satata 예제
16.4 Stata do file
제17장 잠재계층 분석
17.1 LCA 개념과 추정
17.2 LCA 사후 분석
17.3 Stata 예제
17.4 Stata do file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