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총론
제1장 탄소중립도시 등장배경
1.1 도시문제의 현재와 미래
1.2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
1.3 도시의 전혼
1.3.1 화석에너지 도시(Oil City)
1.3.2 탈화석에너지 도시(Post-Oil City
제2장 이론 고찰
2.1 기후변화 대응체계: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
2....
목차 전체
제1부 총론
제1장 탄소중립도시 등장배경
1.1 도시문제의 현재와 미래
1.2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
1.3 도시의 전혼
1.3.1 화석에너지 도시(Oil City)
1.3.2 탈화석에너지 도시(Post-Oil City
제2장 이론 고찰
2.1 기후변화 대응체계: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
2.2 탄소중립도시(Carbon Neutral City)개념
2.3 탄소중립도시(Carbon Neutral City)관련 이론
제3장 탄소중립 도시계획
3.1 비전과 목표 설정
3.2 탄소중립도시 전략
3.3 탄소중립 도시계획
제2부 부문별 계획
제1장 토지이용
1.1 관련 개념
1.1.1 공간구조
1.1.2 토지이용
1.2 계획 방향
1.2.1 목표
1.2.2 전략
1.3 계획기법 및 적용
1.3.1 광역적 도시공간 연계
1.3.2 도시구조 및 기능집약형 토지이용
1.3.3 도시 오픈스페이스 및 미기후 고려
제2장 교통
2.1 관련 개념
2.1.1 녹색교통
2.1.2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2.1.3 탄소중립 교통
2.2 계획방향
2.2.1 목표
2.2.2 전략
2.3 계획기법 및 적용
2.3.1 대중교통 구현
2.3.2 교통수요 관리정책 및 녹색교통기술 보급
2.3.3 생활밀착형 자전거 보행 활ㄹ성화
제3장 단지 및 건축
3.1 관련 개념
3.1.1 탄소중립 주거단지
3.1.2 탄소중립 건축
3.1.3 유사개념
3.2 계획방향
3.2.1 목표
3.2.2 전략
3.3 계획기법 및 적용
3.3.1 단지계획
3.3.2 건축계획
제4장 공원 및 녹지
4.1 관련 개념
4.1.1 공원 및 녹지의 탄소흡수
4.1.2 열섬현상 완화
4.1.3 탄소중립 녹지
4.2 계획방향
4.2.1 목표
4.2.2 전략
4.3 계획기법 및 적용
4.3.1 탄소흡수 그린 네트워크(Green Network)구축
4.3.2 열섬완화 화이트 네트워크(White Network)구축
제5장 도시에너지
5.1 관련 개념
5.1.1 탄소중립형 도시에너지
5.2 계획 방향
5.2.1 목표
5.2.2 전략
5.3 계획기법 및 적용
5.3.1 탄소중립형 에너지 공급 계획기법
5.3.2 적용
5.3.3 에너지 수요 측면의 탄소중립화
제6장 도시환경(물ㆍ폐기물)
6.1 관련 개념
6.1.1 물
6.1.2 폐기물
6.2 계획방향
6.2.1 목표
6.2.2 전략
6.3 계획기법 및 적용
6.3.1 물
6.3.2 폐기물
제7장 거버넌스
7.1 관련 개념
7.1.1 거버넌스(Governance)
7.1.2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 & Urban Governance)
7.1.3 도시거버넌스(Urban Governance)
7.1.4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
7.1.5 환경 거버넌스(Environment Governance)
7.1.6 탄소중립도시 거버넌스(Carbon-neutral Urban Governance)
7.2 계획방향
7.2.1 목표
7.2.2 전략
7.3 계획기법 및 적용
7.3.1 탄소중립도시 거버넌스의 조직 구성
7.3.2 탄소중립 프로그램 운영
제3부 조성 및 계획 사례
1.1 조성 사례
1.1.1 리젤펠트, 프라이부르크, 독일(Rieselfeld, Freiburg, Germany)
1.1.2 보봉, 프라이부르크, 독일(Vauban, Freiburg, Germany)
1.1.3 림, 뮌헨, 독일(Riem, München, Germany)
1.1.4 BO01, 말뫼, 스웨덴(BO01, Malmö, Sweden)
1.1.5 애들레이드, 호주(Adelaide, Australia)
1.1.6 베드제드, 런던, 영국(BedZED, London, UK)
2.1 계획 사례
2.1.1 동탄, 중국(東灘, China)
2.1.2 마스다르, 아부다비, UAE(Masdar, Abu Dhabi, UAE)
2.1.3 대전 그린시티, 한국
2.1.4 탄소중립형 중부신도시, 한국
3.1 사례 종합 및 시사점
3.1.1 특성 종합
3.1.2 시사점 및 미래 추진 방향
제4부 정책 및 제도
제1장 국내ㆍ외 정책 및 제도
1.1 국내 정책 및 제도
1.1.1 중앙정부의 기후변화 관련정책 및 제도
1.1.2 기후변화 대응 법제 검토
1.1.3 지방정부 정책 및 제도
1.2 국외 정책 및 제도
1.2.1 EU(유럽연합)
1.2.2 독일
1.2.3 영국
1.2.4 일본
1.2.5 미국
1.3 국내ㆍ외 정책 및 제도 종합
제2장 기후변화 대응형 평가제도
2.1 국내 성능평가제도
2.1.1 도시관련 평가제도
2.1.2 단지 및 건축관련 평가제도
2.2 국외 성능평가제도
2.2.1 도시관련 평가제도:Green City Index
2.2.2 단지 및 건축관련 평가제도
2.3 국내ㆍ외 성능평가제도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