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가. 연구의 필요성 3
나. 연구의 목적 6
2. 전체 연구 내용 8
가. 조사 자료의 구축 8
나. ‘출신계층 → 교육 → 도달계층’ 분석 11
3. 1차년도 연구 내용 13
가. 1차년도(2008년) 조사 자료 구축 13
나. 1차년도(2008년) 연구 결과 13
4. 2...
목차 전체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가. 연구의 필요성 3
나. 연구의 목적 6
2. 전체 연구 내용 8
가. 조사 자료의 구축 8
나. ‘출신계층 → 교육 → 도달계층’ 분석 11
3. 1차년도 연구 내용 13
가. 1차년도(2008년) 조사 자료 구축 13
나. 1차년도(2008년) 연구 결과 13
4. 2차년도 연구 내용 15
가. 2차년도 조사 실시 16
나. 분석 모형의 설정과 교육과 사회계층 이동 분석 19
다. 주요 변인의 측정 22
Ⅱ. 이론적 배경 25
1. 한국 사회의 교육 기회 확대 27
2. 사회이동 연구의 전개 과정 32
가. 2세대 연구의 확장 33
나. 3세대 연구: FJH 가설의 검증을 중심으로 34
다. 4세대 사회이동 연구 36
3. 교육계층화 논의와 분석 방법 40
가. MMI 가설 및 상대적 위험회피 가설 40
나. EMI 가설 41
다. 교육계층화 분석 방법 42
4. 교육과 사회이동 관련 국내 선행 연구 46
가. 교육 기회에 대한 출신계층의 영향력 분석 46
나. 직업지위 획득, 사회계층 이동에서의 출신계층 및 교육의 영향력 분석 49
다. 시사점 및 본 연구의 차별성 51
Ⅲ. 사회구조적 변동과 1956~1965년 출생집단의 교육과 계급 55
1. 조사 대상 집단의 교육 기회와 직업구조 변동 57
2. 교육과 사회계층: 세대 간 비교 61
가. 응답자 특성 61
나. 교육과 사회계층: 세대 간 비교 62
3. 교육과 계급의 세대 간 이동 71
가. 출신계층과 교육 71
나. 출신계층과 계급 78
4. 세대 내 이동: 계급 이동과 결혼 81
가. 응답자의 계급 이동 81
나. 결혼을 통한 학력, 계급 결합 84
5. 소결 88
Ⅳ. 교육 기회 획득의 계층별?성별 격차 93
1. 교육계층화 분석 방법 96
2. 개인 특성, 출신배경과 교육 기회 획득 98
가. 중학교 진학 98
나. 고등학교 진학 101
다. 대학 진학 106
라. 대학원 진학 111
3. 교육 기회 및 상급 학교 진학 분석 113
가. 교육 성취에 대한 OLS 회귀분석 113
나. 상급학교 진학 요인 분석(로짓분석) 114
4. 첫 자녀의 교육 기회 및 상급학교 진학 123
가. 첫 자녀의 교육 성취에 대한 OLS 회귀분석 123
나. 첫 자녀의 상급학교 진학 요인 분석(로짓분석) 124
5. 소결 127
Ⅴ. 직업지위 획득에 대한 출신계층과 교육의 영향력 129
1. 세대 간 직업지위 획득 132
가. 응답자의 초직지위 획득 132
나. 응답자의 현직지위 획득 136
2. 경로분석: 성별 직업지위 획득의 경로 139
가. 경로분석 모형 140
나. 응답자 아버지-응답자 간 지위 획득 기본 모형 141
다. 확장 모형 144
3. 소결 154
Ⅵ. 1956~1965년 출생집단의 사회이동 157
1. 분석 모형 159
2. 세대 간 사회이동 162
가. 세대 간 계급 유출입 구조 162
나. 이원(two-way) 계급 이동표에 대한 대수선형 분석 164
다. 삼원(three-way) 계급 이동표에 대한 대수선형 분석 166
3. 세대 내 사회이동 178
가. 세대 내 계급 이동 양상 178
나. 이원(two-way) 계급 이동표에 대한 대수선형 분석 180
4. 소결 182
Ⅶ. 결론 및 제언 185
1. 결 론 187
가. 교육계층화 187
나. 직업지위 획득과 사회이동 189
다. 세대 간, 세대 내 사회이동 190
라. 논의 191
마. 연구의 한계 192
2. 제언 193
참 고 문 헌 195
ABSTRACT 209
부 록 215
【부록 1】‘2009 교육과 사회 이동 조사’ 설문지 217
【부록 2】‘2009 교육과 사회 이동 조사’ 주요 결과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