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정보검색화살표
KRIHS발간물화살표
국토 Digital Archive화살표
정보서비스화살표
도서관이용안내화살표
My Library화살표
국토연구원 도서관은 국토분야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체계적이고 광범위하게 수집·축적하고 원내외 연구자들에게 신속하게 제공하여 국토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개발 등을 지원 합니다.
국토연구원은 국토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개발, 보전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연구·발전시켜 각급 공간계획의 수립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에 발맞추어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은 국토분야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체계적이고 광범위하게 수집, 축적하여 원내외 연구자들에게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연구원이 설립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협력하고 있습니다.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은 국내의 유일한 국토 분야 전문도서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1978년 10월 개원이래 기초자료를 비롯하여 각종 전문서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를 수집,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와 관련된 국토계획, 지역경제, 도시계획, 토지연구, 주택정책, 교통정책, 건설경제, 환경정책, 사회간접자본(SOC), 지리정보시스템(GIS), 각종 행정 및 지역통계자료와 관련분야의 연구수행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중점적으로 수집,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도서관 제반업무의 전산화를 위하여 1980년대부터 자료전산화업무를 비롯한 도서관 자동화를 추진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토연구원은 1978년 4월 17일 '국토개발연구원 설립안'이 대통령의 재가를 얻어, 동년 10월 4일 '국토개발연구원'이라는 명칭으로 개원하였습니다. 1994년 4월 26일 연구원 자체 청사를 신축하여 안양시 평촌으로 이전하였고 1999년 1월 29일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 '국토연구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은 1978년 연구원의 개원과 더불어 개관하였습니다.
연구원 및 도서관 개원
자료전산화업무 시작(목록전산화 및 주제검색 시스템 가동)
전산실 분리
DNS 개통, 해외 데이터뱅크 온라인 정보서비스 시작
홍보출판실 분리
자료전산화업무 강화(Bar Code 대출시스템 가동)
OROM 2000 도입. 본격적인 도서관자동화 시작
안양시 평촌 청사 4층으로 이전(자료실 공간 300여평 확충)
정보자료팀으로 통합·개칭(자료관리업무, 전산업무, 출판업무 등 총괄)
자료관리시스템 교체(오롬정보 Maestro)
국회도서관과 "학술정보 상호협력 협정" 체결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개관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도서관 홈페이지 경진대회" 우수상수상
CD-Net 시스템 도입
한국복사전송권관리센터와 "저작권료 지불에 관한 약정서" 체결
"한국학술정보협의회(국회도서관)" 이사 선임(2년 임기)
메타검색프로그램 도입
KRIHS 발간자료 목록 제1집 발간(I권: 단행본, II권: 정기간행물)
커뮤니케이션센터 문헌출판팀으로 변경
"한국학술정보협의회(국회도서관)" 이사 연임(2년 임기)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과 "자료제공협약서" 체결
KRIHS 발간자료 목록 제2집 발간(I권: 단행본, II권: 정기간행물)
행정관리센터 문헌관리팀으로 변경
전자도서관 홈페이지 개편 및 자료관리시스템 iLips 도입
행정관리센터 출판문헌팀으로 변경
한국학술정보협의회(국회도서관장) 공로패 수상
2012년 전국도서관운영평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수상”
국회의장 공로패 수상
지식정보실로 변경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토분야 지식정보자원 등의 공동 활용 및 협력체계 구축 협정" 체결
출판문헌팀으로 변경 / 국립중앙도서관 OAK 리포지터리 사업 대상기관 선정
KRIHS_OAK 리포지터리 구축완료 및 오픈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활동 기여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수상”
한국국토정보공사(국토정보교육원)와 “자료상호대차서비스”에 관한 협약 체결
국토연구원 세종시 청사로 도서관 이전
지식정보팀으로 변경(도서관, 전산, 출판 통합)
전자도서관 홈페이지 개편 및 자료관리시스템 ILUS 도입
지식관리팀으로 변경(국토지식센터 지식관리팀)
국립세종도서관과 "국가정책정보서비스 구축 등 협력강화 및 상호 교류 증진" MOU 체결